이라크에서 한국인 2명이 피살되고 2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이라크 추가파병을 앞두고 있는 정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라크 치안상황이 악화되면서 시민단체와 정치권 일각에서 파병철회 목소리가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인 피해가 발생, 이라크 추가파병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수혁(李秀赫)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1일 새벽 "지금은 이라크내 한국인의 안위가 최우선 과제이며 파병에 미칠 영향 등에 대해 언급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며 언급을 자제했다. 다른 외교부 당국자들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관계자들도 이 문제 사안의 복잡성과 민감성을 감안, 함구로 일관했다. 국회 이라크조사단장인 한나라당 강창희(姜昌熙) 의원도 "이라크내에서 첫 한국인 테러 사건이 발생한 만큼 보고서 작성에 앞서 오전 열리는 조사단 전체회의에서이 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하겠다"면서 "최종보고서 작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것"이라고 밝혔다. 아직 예측하기는 이르지만 여러가지 이유때문에 일단 정부가 파병 결정을 철회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한 편이다. 정부가 파병의 명분으로 이라크 평화와 재건 지원을 내걸고 있지만 북핵 문제에대한 미국의 역할도 중요한 요소로 고려됐기때문이다. 다시 말해 북한 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푸는 데 미국의 역할이 결정적일 수 밖에없는 현실을 파병 결정 때 감안했다는 것이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도 지난 29일 SBS-TV 토론에서 이라크 파병과 북핵 문제를 사실상 연계시켰음을 인정했다. 우리와 일본의 경우가 조금 다르다는 점도 파병 결정이 바뀌지 않을 것이란 전망의 근거가 되고 있다. 우선 일본은 이미 알 케에다 등 테러조직으로부터 몇차례 테러위협을 받았고 미국과 같이 움직이는 나라로 인식돼 아랍권의 불만이 많은데다 침략전쟁을 일으킨 과거가 있는 만큼 우리와는 차이가 있다. 또 일본의 경우 외교관이 피살됐지만 우리는 피해자가 민간인이란 점도 파병정책에 미치는 파장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이라크 파병이 이뤄지더라도 이번 사건이 파병 성격과 시기를 결정하는데 다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우선 파병 부대의 자기방어 능력을 높이는 방향, 즉 공병과 의무병을 보호하기위한 전투병을 상당수 파병하는 쪽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파병 시기도 다소 늦춰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정부가 일단 이라크 치안상황과국제동향을 좀 더 지켜본 뒤 파병하자는 쪽으로 돌아설 수 있고 국내여론이 악화되면서 이를 설득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기때문이다. 그러나 국내여론이 걷잡을 수 없이 나빠지고 지난달 29일 외교관 2명이 피살된일본 정부가 이라크 파병계획을 철회하거나 연기하려는 움직임을 보일 경우 파병정책은 혼란에 빠져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게다가 이라크 등 중동지역과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테러가 추가로 발생할 경우 혼란은 더욱 심각할 것으로 우려된다. 미군이 최근 이라크 티크리트를 비롯한 수니파 저항세력 거점에 대한 집중공격을 시작한 뒤 연합군을 겨냥한 공격은 현저히 줄어들고 있는 반면 이라크 민간인과과도정부 관리, 보안경찰, 외국공관과 외국인, 파병국들을 겨냥한 공격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한국인 추가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기자 ch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