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전반에 큰 파장을 불러오고 있는 정치자금 논쟁의 촉발제가 된 `SK사태' 이후 각 기업들의 문단속이 한층 강화되고 있다. 물론 SK사태 이전에도 `정보=자산'이라는 인식 아래 기업정보 단속에 힘써 왔지만 어디로 불똥이 튈 지 모르는 정국에서 자칫 불필요한 의혹을 살 수 있는 사태를미연에 방지한다는 차원에서 `정보단속' 분위기는 앞으로 더욱 심화될 조짐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SK사태의 당자자인 SK그룹은 올해부터 각 계열사별로 정보보호 지침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SK[003600]와 SK텔레콤[017670] 등 주요 계열사들은 각 팀내에 정보보호 담당자를 지정하고 최고 정보책임자(CIO) 및 정보보호 담당자를 대상으로 보안수준 향상과관련된 주제의 세미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SK텔레콤의 경우 모든 컴퓨터에 보안프로그램을 설치, 사외로 반출시 사유와 기간에 대한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으며 허가없이 반출된 컴퓨터는 자동으로 기능제한모드에 들어가도록 해놓았다. 첨단 기술을 다루는 분야인만큼 전자 관련 업체들의 단속도 만만치 않다 반도체와 정보통신 부문 등 민감한 사업 부문이 많은 삼성전자[005930]는 업계에서도 특히 보안에 신경쓰는 기업으로 평가된다. 삼성 본관의 경우 신분증을 갖다 대야만 출입이 가능한 게이트가 설치된 지 1년이 넘은 것 외에도 지난 7월부터는 4대의 X-레이 검색대가 가동돼 데이터를 담을 수있는 노트PC,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메모리카드 등의 밀반출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통제하고 있다. 또 대량의 정보를 올리고 외부인이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웹하드에 직원들이 접속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관련 사이트에 대해서도 정기적인 관리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066570]는 회사기밀 유출 방지를 위해 직원들이 개인소유의 노트PC를 사용할 경우 부서장의 인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대우일렉트로닉스는 인터넷 메신저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인 대화작업 외에 회사내부의 하드디스크에 있는 정보를 상대방에게 보내는 작업은 실행될 수 없도록 시스템을 설정했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나 LG전자의 경우 핵심기술이 생산되고 제조되는 연구소나공장을 대상으로 일찌감치 카메라가 달린 휴대전화인 일명 `카메라폰' 반입 제한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현대차측은 올들어 뉴그랜저XG 등 미출시된 신차 사진이 인터넷상에 유포되는등 보안문제가 대두되면서 연구소에는 `카메라폰' 반입을 금지하고 외부인사 방문시면회소를 이용하도록 하는 등 외부인 통제를 강화했다. 본사에서는 개인 PC마다 개별 암호를 입력해야만 컴퓨터 부팅이 가능토록 했으며 특히 내년부터는 사원카드에 보안기능을 추가, 사원카드를 컴퓨터에 대야만 PC가작동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한화그룹 역시 얼마전부터 회사가 인가하지 않은 메신저와 P2P 소프트웨어(대용량 동영상 전송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또 각 계열사별로 컴퓨터파일 관리 요령 등이 담긴 개인정보 보안지침을 제정,직원들에게 배포토록 했으며 보안지침 준수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있다. 상사업계에서도 보안 강화 움직임은 예외가 아니어서 삼성물산[000830]은 보안통합프로그램을 운영, 모든 컴퓨터에 시스템 패스워드와 공유폴더 패스워드를 설치했으며 정기 모니터링을 통해 통해 `보안' 또는 `대외비'로 분류된 문서를 외부로보내려고 할 경우 자동경보가 작동하도록 하고 있다. LG상사[001120]는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사내직원 공유 시스템에 외부 접근이원천적으로 불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매달 보안점검을 통해 임직원들의 보안의식을 높이고 있다. 분식회계 사태를 겪은 SK네트웍스[001740]는 인트라넷에 방화벽을 설치하고 사내보안 규정에 따라 매달 임직원을 상대로 보안교육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기업 보안유지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산업팀 sout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