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강도 높은 부동산시장 안정대책이 예고되면서 강남권 집값이 하루가 다르게 속락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아파트 가격 하락에도 일정한 패턴이 나타나고 있다. 일반아파트보다 재건축 대상 아파트가 더 많이 떨어지고 재건축단지 내에선 대형 평형보다 소형 평형의 매물이 많다. 또 강남권 중심부보다 외곽지역의 내림폭이 크다. 그러나 분양권의 경우 다주택 보유에 해당되지 않아 하락폭이 미미하다. 이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다주택 보유자들이 외곽지역 및 작은 평형을 먼저 처분하고 있기 때문이다. ◆재건축 소형 평형 매물 급증 재건축아파트에서 이같은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달 초 대비 4천만원 안팎의 낙폭을 보이고 있는 서울 강동구 고덕 시영의 경우 13평형과 17평형의 매물은 쏟아지고 있지만 19평형과 22평형의 매물은 상대적으로 적다. 인근 제일공인 관계자는 "양도소득세 비과세 요건에 2년 거주가 추가되자 들어가서 살기에 불편한 소형 평형은 팔려는 사람이 급증하고 있지만 그나마 거주할 만한 19·22평형의 매물은 적다"고 전했다. 또 강남구 등지에서 원정 투기꾼들이 초기 투자자금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소형 평형을 공략하는 것도 한 원인으로 풀이된다. ◆일반아파트는 상대적으로 선전 이달 초와 비교할 때 일반아파트의 낙폭은 1천만∼3천만원 정도에 그치고 있다. 상당수 재건축 대상 아파트가 4천만∼8천만원가량 급락한 것에 비하면 상황이 그나마 나은 편이다. 실제로 강남구 개포 주공 저층단지,송파구 잠실 주공 및 가락 시영,강동구 고덕 주공 등에선 최고 6천만∼8천만원 떨어진 급매물이 나오고 있지만 인근의 개포 주공 고층,송파구 송파 삼성 등의 기존 아파트는 대부분 1천만∼2천만원 정도 하락한 수준이다. 이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이달 중 발표될 정부 대책에 '재건축아파트에 대한 개발이익 환수제'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 소형 평형 의무비율 확대 및 조합원 지분 전매금지 등의 메가톤급 조치들도 뒤늦게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핵심 지역 고가아파트와 분양권은 호가 유지 강남구 대치동과 도곡동 등 강남권 핵심지역의 대형 평형은 그동안 없었던 매물이 흘러 나올 뿐 호가는 빠지지 않고 있다. 대치동 동부센트레빌과 도곡동 도곡 주공 1·2차 등은 아직도 기존 호가를 유지하고 있다. 도곡동 신세계공인 관계자는 "이 동네 아파트들의 매매가는 대부분 10억원 이상으로 투기 목적으로 접근하기는 어렵다"며 "돈 많은 실수요자들이 주로 매입에 나서고 있어 외부 악재에 상대적으로 둔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분양권의 경우도 사정은 비슷하다. 정부가 여러 채의 집을 갖고 있는 이들에게 보유세를 중과하는 조치를 내놓는다고 하더라도 분양권은 집 보유 개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분양권 보유자들은 이런 점을 알고 더 버텨보자는 생각을 하고 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