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을 다루는 문제를 놓고 한국이 미국의 선제공격 정책에 경계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적이 공격하기 전에 먼저 공격을 한다'는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선제공격 정책이 북한을 다루는 과정에 적용되는데 대해 반대하고 있다. 노 대통령은 14일 밤 백악관에서 가질 예정인 부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이같은 사실을 재확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 대통령은 최근 워싱턴 타임스와 회견에서 "북한과 군사대결에 대한 생각만으로도 우리에게는 불행"이라고 말한 바 있다. 노 대통령은 북한과의 지속적인 접촉이 최선의 정책이라고 믿고 있으며 부시 대통령도 북한의 군사력증강 위협을 우려하고는 있지만 이에 동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노 대통령은 부시 대통령이 인내의 외교정책을 얼마나 오랫동안 고수할수 있을지에 대한 확신이 없으며 미 행정부내 많은 사람들이 북한과의 접촉이 성과가 없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 노 대통령은 이와관련, "일부 한국인들은 부시 대통령의 평화적 해결원칙이 변할 수도 있다고 믿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부시 행정부도 북한이 전쟁발발 첫 주에 수십만명이 사망할 수 있을 정도로 한순간에 대량살상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만큼 한국의 우려를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미 행정부내 일부 인사들은 단지 대화가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의 포기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 회의적이다. 일부 측면에서 노대통령이 무력한 양보자로 인식되고 있다. 미 행정부내 노 대통령에 대한 비판가들은 믿을만한 압력이 없을 경우 북한은 계속해서 핵확산을 할 것으로 믿고 있다. 지난 2년간 미 행정부의 발표내용은 `악의 축'발언으로 대표되는 북한에 대한 비난과 대화갈망 발언 사이를 왔다갔다 하는 등 이같은 혼란을 반영하고 있다. 현재는 미 행정부는 최근 중국에 의해 주도된 미.북.중 3자회담에 만족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북한이 핵무기프로그램 포기에 동의할 경우 이를 준수할 것이라는데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이다. 제임스 릴리 전 주한 미국대사는 "북한은 이를 외국인들의 행동을 막는 역할을 하겠지만 북한의 행동을 제한하지 못하는 장치로 인식할 것"이라면서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워싱턴 AP=연합뉴스) nadoo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