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채권단 청산신청 잇따라 해외채권자들은 채권단의 자제요청을 무시하고 SK글로벌 해외 현지법인에 대해 청산신청을 제기하고 있다. 홍콩상하이은행(HSBC)은 최근 SK글로벌 런던법인에 대해 청산신청서를 제출했다. 프랑스 유바프(UBAF)은행을 포함한 싱가포르 현지 금융회사들도 싱가포르 현지법인에 대한 파산신청을 제기했으며 크레디리요네는 홍콩법인에 대해 곧 청산신청을 낼 예정이다. 이에 앞서 씨티은행은 미국 뉴욕 현지법인의 자산에 대해 가압류 신청을 냈으며 국민은행 뉴욕현지법인도 가압류 신청을 냈다가 기각당했다. ◆채권단과 SK그룹 갈등 심화 최대 현안은 SK글로벌이 갖고 있는 3백70여개 주유소와 SK글로벌이 해외에 파킹한 SK㈜ 주식 1천만주(7.88%)의 매각 문제다. 채권단은 주유소 3백70여개의 경우 SK㈜의 핵심적인 영업망이기 때문에 단순한 부동산 시세 이상의 가치가 있다면서 "영업권 프리미엄을 인정해주지 않으면 SK㈜가 아닌 다른 회사에 파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압박하고 있다. 반면 SK㈜는 "영업에 필수적인 주유소만 적정가격에 선별 매입할 방침"이라며 일괄매각이나 프리미엄 등 채권단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해외에 파킹돼 있는 SK㈜ 주식에 대해서도 양측의 입장 차이가 극명하다. 채권단은 적대적 M&A 시도가 있는 상황인 만큼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SK그룹측은 "현재도 경영권을 유지하는 데는 어려움이 없다"며 "당장 계열사들이 사들이는 방안은 검토하고 있지 않고 사더라도 프리미엄을 줄 생각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룹 분할 가속화 SK글로벌의 정상화가 수포로 돌아간다면 SK그룹의 분할은 가속화될 전망이다. 대주주인 최태원 SK㈜ 회장은 담보로 맡긴 주식을 모두 빼앗겨 지배권을 잃게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채권단이 담보로 맡긴 주식을 어떻게 처분하느냐에 따라 그룹 지배권의 향배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그룹 지주회사격인 SK㈜의 1대주주인 영국계 소버린자산운용이 어떻게 행동하느냐가 변수다. 어떤 경우든 총수의 경영권이 사라지면서 그룹 계열사들은 뿔뿔이 흩어져 독립경영체제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태웅·김인식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