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어제 유력한 국제 금융그룹인 푸르덴셜금융에 현투증권과 현투운용 2개사를 매각키로 하고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미국계 투자펀드인 AIG컨소시엄과의 매각협상이 결렬된지 1년여만에 어렵사리 현투증권 해결의 새로운 실마리를 잡은 셈이다. 지난번 AIG컨소시엄이 단기투자이익을 노리는 투자펀드였던 것과는 달리 이번에는 한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영업활동을 전개할 의사가 분명한 국제적인 금융그룹이라는 면에서 일단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다고 본다. 투자이익보다는 한국시장에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인수자라야만 국내 금융산업의 발전과 건전한 경쟁구조를 구축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은 긴 설명이 필요없다. 푸르덴셜측이 "한국 자산운용 시장의 성장잠재력을 신뢰한다"며 "이미 성공적으로 진출해 있는 푸르덴셜보험의 기반위에 다시한번 성장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는 것도 바로 그런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양해각서 체결에도 불구하고 본계약을 체결하기까지 넘어야 할 산이 결코 낮아보이지 않는다. 또 현대증권 문제가 남아있기 때문에 현대그룹 금융3사 부실정리 문제는 완전히 매듭을 지었다고 보기엔 이르다고 봐야겠다. 우선 현투증권에 투입될 공적자금 규모가 아직 확정되지 못하고 있는 점이다. 업계에서는 1조4천억원의 자기자본 잠식규모를 감안하면 최소한 2조원 이상의 공자금이 투입되어야 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지만 정부는 공자금 투입규모에 대해 아직까지 이렇다 할 설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현투증권에 대한 회계법인들의 실사만도 한두번이 아니었는데 아직도 공자금 규모가 확정되지 못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동안의 협상과정에서 투명하지 못한 일처리가 결국 허다한 혼선을 빚었다는 점을 상기해 보더라도 공자금 규모는 조속히 확정되고 또 공개되는 것이 마땅하다. AIG 경우와는 달리 풋백옵션을 달지 않은 것은 다행이지만 공자금 규모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5천억원이라는 매각대금은 또 어떻게 결정된 것인지 궁금하다. 매각대금이 공자금 투입규모에 연동되어 있다는 것은 긴 설명이 필요없다. 공자금 투입과 클린화 작업을 거친 2개 금융사를 매각하는데 5천억원이 과연 적정한지에 대해서는 추후에 공자금관리위원회의 철저한 검증이 있어야 할 것이다. 어떻든 이번에야말로 현투증권이 깨끗하게 매각됨으로써 외환위기 이후의 금융부실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