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가 폭등세가 위험수위를 넘어선 느낌이다. 서울은 말할 것도 없고 수도권의 일부 아파트 분양가마저 평당 1천만원선을 돌파하는가 하면,분양가가 기존 아파트 매매가보다 더 비싼 현상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대로 가면 작년에 정부당국의 거듭된 부동산투기 억제대책으로 간신히 잠잠해진 집값이 다시 들먹일 가능성이 높다. 최악의 경우 물가불안은 물론이고 임금상승도 부채질해,산업현장에도 악영향을 미칠게 분명하다. 그런데도 주무부처인 건교부는 강건너 불보듯 수수방관하고 있는 건 물론이고,오히려 한술 더 떠 올들어 분양가가 작년보다 약간 떨어졌다고 강변하고 있으니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올라야 할 뚜렷한 이유가 없는데도 분양가가 턱없이 오르는게 더 큰 문제다. 주택건설업체들은 택지매입비 인건비 자재비 등이 많이 올랐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지만,지난 몇년 동안의 물가상승률이 한자릿수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전혀 설득력이 없다. 그보다는 저금리로 인한 시중 부동자금의 팽창과 가수요심리 탓이 크다고 본다. 실제로 경기도 용인 죽전지구 등에선 일부 주택건설업체들이 분양대행사를 통해 이른바 '떴다방'을 조직적으로 동원한 흔적이 엿보인다. 관계당국은 더이상 사태가 악화되기 전에 분양가 안정대책을 내놓아야 마땅하다. 그렇다고 과거처럼 정부가 분양가를 규제해야 한다는 극단적인 주장에는 찬성할 수 없다. 주택시장의 자율적인 수급조정을 저해할 뿐아니라 온갖 편법과 비리가 판칠 것이기 때문이다. 국세청의 세무조사나 지자체 행정규제 역시 임시방편일뿐 근본대책이 못되는 건 마찬가지다. 그보다는 경쟁촉진을 통해 무분별한 분양가 인상을 억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옳다. 이점에서 소비자단체들이 요구하는 분양가 내역 공개나 후분양제 도입 등은 적극 검토할 만하다고 본다. 분양가 내역 공개는 소비자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시장정보를 확충한다는 차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적지 않다. 사실 주택건설업체들에 세세한 원가내역을 공개하도록 할 필요 없이,주택건축 인허가를 받기 위해 관계당국에 제출하는 개략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효과가 상당히 크다고 생각한다. 후분양제 또한 가수요 과열을 방지하고 소비자들이 품질대비 적정가격을 따져보게 한다는 점에서 도입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 분양가 인상의 빌미를 주지 않도록 택지공급을 늘리고 불필요한 건축규제를 대대적으로 없애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