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19일 이틀간 뉴욕의 유엔 본부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이라크 문제 공개 토의에서 다수의 국가들이 이라크 전쟁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해 지난 주말 대규모 반대시위로 여론의 열세에 직면한 미국과 영국의 입장을 더욱 어렵게 했다.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들도 이라크 문제에 관해 안보리에서 입장을 표명할 수 있게 해 달라는 비동맹운동(NAM)의 요청으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 거의 모든 아랍국들과 대다수 참가국들이 전쟁보다는 유엔 사찰 등 평화적 해결의 기회를 모두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19일 의견을 밝힌 선준영 유엔주재 한국대사는 이라크에 무장해제 의무 준수를 촉구하고 "이러한 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때 이라크는 결과에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일부 해외 언론은 이라크를 신랄히 비판하면서 유연 결의를 준수하지 않으면 국제사회의 엄중한 행동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몇몇 국가에 한국을 포함했다. 유엔 옵서버인 바티칸을 포함해 이날 회의에서 발언한 60개국 이상의 유엔 회원국 대표들 가운데 이라크 전쟁을 명시적으로 지지한 국가는 거의 없었다. 카타르는 "이라크와 그 국민을 새로운 전쟁의 황폐로부터 구하게 될 평화적 해결을 성취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집트는 "대량파괴무기의 위험은 이라크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면서 "이라크의 순응과 사찰단에 대한 협조는 어두운 터널에서 탈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리비아는 "일부 국가들은 성급히 전쟁으로 치닫고 있다"고 비판하고 "그들의 의도는 뚜렷한 증거 없이 전쟁의 구실을 만들어 내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도네시아도 "상황은 절망적이지 않다. 유엔 안보리 1441호의 목적은 아직도 달성 가능하다"고 평화적 해결의 희망을 강조했다. 캐나다는 "사찰단에 더 시간을 부여하는 것이 유익할 수도 있지만 그것은 이라크가 전적으로, 그리고 투명하게 협력한다는 전제 아래서만 그렇다"고 밝혔다. 그러나 아이슬란드는 "무력의 사용은 최후의 수단이 돼야 하지만 유엔 헌장에 따른 다른 수단이 부적절할 때 유엔 안보리는 책임을 이행해야 한다"고 미국과 영국의 입장을 옹호했다. 미국의 또다른 동맹세력으로 떠오른 동구권의 마케도니아, 알바니아, 우즈베키스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등도 대체로 이라크에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회의 말미에 발언한 모하메드 알두리 이라크 대사는 미국과 영국을 비롯해 "극단적 입장을 취하는" 국가들에 대해 "전쟁은 심각한 도덕적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이 문제에 대해 주의깊게 고려하고 서두르지 말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전쟁이 일어난다면 "1920년대 영국의 점령에 대한 저항으로 유명한 이라크의 아들들은 조국을 수호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뉴욕=연합뉴스) 추왕훈 특파원 cwhyn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