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광양-서해까지 해양허브로 가자 ]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부산을 비롯한 항만도시들이 기대에 부풀어 있다.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낸데다 부산을 해양수도로 개발하겠다고 공약하는 등 '해양 경쟁력'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동북아에서는 지금 해양 인프라 경쟁이 불붙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부상한 중국은 상하이를 중심으로 '동북아 컨테이너 중심'을 꿈꾸고 있고 일본은 '해양 파워'는 절대 양보하지 못한다는 입장이다. 중국과 일본에 비해 한국은 입지 여건에서 유리하다. 부산에서 광양에 이르는 다도해 해양벨트는 중국과 일본의 교차점에 위치하고 있다. 남태평양에서 중국 중공업지대인 황해 연안, 러시아 극동 연안에 이르는 '최단거리' 항로는 우리 남해안을 거쳐가는 '코스'다. 김재철 무역협회 회장은 "연안의 수심이 얕은 중국 해안이나 동북아 중심에서 벗어나 있는 일본 해안도시들보다 우리가 절대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에 부산에서 광양까지 다도해 연안 전체를 동북아 해양 허브로 발전시키겠다는 긴 안목을 갖고 '그랜드 플랜'을 짜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북한과 경의선 철도 연결이 가시화하고 있고 러시아 등은 한반도를 관통해 부산이나 광양 등지에 이르는 '물류 루트' 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해양 허브 경쟁에서 배후(육지) 연계조건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만큼 한국은 이런 점에서도 유리하다. 현재 부산항이 컨테이너 처리 분야에서 세계 3위를 차지하고 있고 광양항이 연간 30% 이상 급성장하고 있지만 위기 요인도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일본은 고베항을 중심으로 재충전 중이고 중국 상하이항은 얕은 수심 문제를 기술적으로 상당히 극복하고 이미 18개 선석(컨테이너 접안시설)을 운영하면서 한국(부산 19선석, 광양 8선석)을 위협하고 있다. 문성혁 해양대 교수는 "항만산업은 대형 컨테이너 선박 1척이 항에 하루 머물면 9억원이 떨어질 뿐 아니라 타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고부가가치 산업인 만큼 해양을 키우려는 각국의 의지는 대단하다"고 말했다. ◆ 해양 경쟁력 보완 시급하다 =정부는 오는 2011년까지 13조8천64억원을 투입, 부산 신항에 30선석, 광양항에 33선석을 추가로 건설할 계획이다. 두 컨테이너항 배후에 4천만평 규모의 경제특구를 만드는 계획도 세우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차질없이 추진되면 2008년 항만물류 산업의 연간 매출액은 현재 18조원에서 60조원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이 정도로는 중국과 일본을 압도하기 힘들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부산항은 2006년 3선석을 조기 완공할 계획이지만 경쟁항인 상하이항에 비해 가동 시점이 뒤진다는게 문제다. 상하이항은 2005년 9월까지 4~5선석을 조기 가동하고 2011년에는 부산(49선석)보다 9개나 많은 총 58선석을 운영할 계획이다. 일본은 첨단 항만시설로 무장해 재기를 노리고 있다. 이동희 부산항업협회 회장은 "한국은 동남아의 싱가포르처럼 우선 항만시설에서 압도적으로 동북아 1등을 다져 놓지 않으면 상하이에 밀릴 것"이라면서 "차기 정부는 위기 의식을 갖고 항만은 물론 배후 인프라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문했다. 운영시스템 혁신도 과제다. 이익주 부산시 기획관은 "해양수산부와 부산시가 함께 항만을 운영하는 지방 해양시대를 열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항만 배후지역의 산업.문화.관광 인프라로 승부한다 =해양 파워는 배후지역 연계개발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부산시 오홍석 경제진흥국장은 "바다에서 육지를 바라보며 산업을 육성할 때"라며 "조선과 선박기자재 등 해양 관련 산업에서부터 다도해 지역의 관광레저 개발 등까지 연계개발 플랜을 범정부 차원에서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재철 광주전남발전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부산에서 광양을 거쳐 서해까지 길게는 중국까지 크루즈산업을 육성하는 등 '동북아 해양 레저' 사업도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시와 경상남도 전라남도는 남해안의 해양 자연과 내륙의 역사문화 자원을 연계한 남해안 관광벨트 개발을 준비 중이다. 박남규 동명대 교수는 "해양 허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항만의 하드웨어에서 인접 지역의 문화 소프트까지 연계하는 '네트워크' 플랜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해양관광 정책을 전담할 정부 조직이 필요하고 해양수산부 차원을 넘어 국토정책, 산업정책까지 아우르는 국책 차원의 해양 정책이 차기 정부에서 구체화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