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1일자) 증시 불안 어디까지 번질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 금융시장이 다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97년 아시아와 98년 러시아·남미 외환 위기를 방불케 하는 느낌이다.
이번에는 신흥시장에서가 아니라 미국 독일 등 자본주의 중심국가들로부터 금융불안이 확산되고 있어 우려는 더욱 크다.
나스닥 주가는 이미 2000년 초반의 최고치에서 6분의1로 주저앉았고 독일과 영국 증권시장은 각각 97년,98년 수준으로 되돌아간 상태다.
독일은 신기술 주식시장인 노이어 마르크트를 폐쇄키로 했고 일본의 나스닥 재팬도 문을 닫기로 하는 등 신기술 주식시장은 이미 빈사지경이다.
우리나라 증권시장 역시 연일 폭락세를 보인 끝에 10일엔 종합주가지수 600선이 무너졌고 코스닥은 개장 이후 최저치를 연일 경신하고 있다.
선진국 증시 폭락이 개도국으로부터의 자금 회수를 촉발하고 결과적으로 개도국 주가가 동반 붕괴하는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다.
대만에서는 8월에 이어 지난달에도 10억달러 이상의 외국인 자금이 유출됐고 우리나라 역시 지난 91년 증권시장을 개방한 이후 연간 기준으로는 처음으로 외국인 주식투자 자금이 순유출을 기록하고 있다.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들은 올들어 5조5천억원의 한국 주식을 순매도,자금을 회수해갔다.
문제는 이같은 유례없는 자금유출이 투자대상국에 대한 저평가가 아니라 본국의 금융부실과 신용불안 때문이라는 점이다.
최근에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의 디폴트 문제까지 불거져 선진국 금융기관들은 최악의 국면을 맞고 있다.
브라질에만도 1천억달러 이상 대출하고 있는 미국 은행들은 자국내 대기업 여신에서도 유례없는 13%,2천3백60억달러의 미회수 잔액을 기록하고 있다는 것이 미국 예금보험공사의 집계다.
내우외환인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의 금융통화위원회는 어제 기준금리인 콜금리를 현수준인 4.25%에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작금의 금융불안을 감안하면 지극히 당연한 조치일 것이다.
부동산 거품과 물가불안 우려가 있다고 하지만 당장의 증시붕괴적 상황을 외면해서도 안되고 또 그렇게 하기도 어려웠을 것이다.
세계 금융위기에 대해 우리가 과연 어떤 대책을 세워가야 할지도 분명하다.
박승 한은 총재는 내년에도 5.5%의 견조한 성장이 가능하다고 말했지만 무엇보다 실물경제의 성장기조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지금으로선 최선의 길이다.
오늘 열리는 경제정책조정회의 역시 금융시장의 안정을 확고히 하는 외에 실물경제의 건전성을 유지하는데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