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러시를 이루던 중국내 탈북자들의 외교공관 진입이 23-24일에는 탈북자 3명이 베이징(北京) 주재 한국총영사관에 진입하는 사태로 발전함으로써 한국공관까지로 확대됐다. 물론 망명요청 묵살 여부로 논란을 빚은 지난 17일의 S씨 사례처럼 그동안 중국내 한국공관을 찾아간 탈북자들도 있었지만, 이번처럼 한국행 희망이 공개되고 정부가 이를 공식화하기는 처음이다. 탈북자 문제에 관한한 그동안 "중국과 북한의 문제"라면서 한국과의 직접 협의를 극도로 꺼리는 모습을 보여줬던 중국으로서는 이번 경우 우리측과 이들 3명의 처리방향을 직접 협의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다. 이에 따라 이번 한국공관 진입 탈북자 3인 문제의 해결방식은 우리 정부는 물론향후 중국의 탈북자 처리 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시금석이 될 전망이다. 정부도 이같은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 주5일 시범근무에 따라 공무원들이 휴무에 들어간 25일 최성홍(崔成泓) 장관을 비롯한 외교부 주요간부가 전원 출근해 긴급대책회의를 갖는 등 분주히 움직였다. 정부는 일단 한국행을 희망하는 탈북자들이 우리 공관에 진입할 경우 이들을 수용하고 중국측과 협의에 나선다는 방침에 따라 중국측과의 적극적 교섭을 시작했다. 정부 당국자는 "우리는 이들이 다른 제3국공관 진입을 통한 한국행 사례와 같이인도적으로 처리돼야 한다는 입장을 이미 중국측에 전달했다"면서 "앞으로 적극적으로 중국과 협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들에 대한 신변안전이 보장되고 안전한 한국행이 보장될 때까지 이들을 총영사관내에 수용하고 중국측과 협의를 벌여 나갈 계획이다. 하지만 중국이 최근 외교경로를 통해 "만일 탈북자들이 한국공관에 진입할 경우사태해결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회적으로 경고한 상황에서 이들 3명을 중국이 어떻게 처리할 지는 단언할 수 없다. 물론 중국 공안당국이 강제로 우리 총영사관내에 들어와 탈북자들을 체포한다는것은 외교공관의 불가침권에 비쳐 상상할 수 없다. 하지만 한국공관에 진입한 이들 3명의 한국행에 선뜻 동의할 경우 향후 선례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의 고민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 당국자는 "중국도 다른 제3국공관에 들어갔던 탈북자들처럼 순조롭게 빨리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이들 3명의 처리방향을 결정하는데 중국이 장기전으로 돌입할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지난 97년 황장엽(黃長燁)씨의 주중 한국총영사관을통한 망명요청시 중국은 35일만에 제3국 추방에 동의했다. 다만 정부내에서는 그동안 중국이 제3국공관 진입시 결국 추방을 통한 한국행에동의해 줬고, 사실상 중국내 탈북자들에 대해 `묵인정책'을 펴온데다 그간의 관례와국제여론을 감안할 때 이번에도 인도적으로 풀어나갈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않다. 그러나 한국공관에 진입한 탈북자 처리의 첫 케이스라는 점에서, 북한을 고려한중국이 우리 정부에 이들 3명의 신병인도를 요구하는 등 외교적 마찰을 빚을 가능성도 완전 배제할 수는 없다. 한 당국자는 "우리 정부도 중국에 과도한 어려움을 주지 않고 순조롭게 일이 처리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