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은행장 선임은 끝났지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외환은행장 후보가 우여곡절 끝에 선임됐다.
은행근무 경력이 전무한 이강원 행장후보가 하이닉스반도체 처리 등 산적한 외환은행 현안 처리에 어떤 수완을 보여줄지가 남은 관심사다.
'증권맨'으로 은행장에 안착한 김정태 국민은행장과 같은 성공사례가 다시 나올지 금융계의 관심은 자못 크다.
이번 외환은행의 행장 선임 과정에서도 관치(官治)니,낙하산 시도니 하는 해묵은 논란은 어김없이 재현됐다.
막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돼 정상화의 길을 모색중인 은행이 최고경영자(CEO)를 어떤 방식으로,어떤 인물을 선임해야 하는가.
풀기 어려운 은행가의 숙제거리다.
후보 추천위 구성→후보자 물색·선정→최종 후보 결정으로 이어진 이번 행장후보 선임 과정을 돌아보자.정부는 당연한 듯 최종 결정권을 행사했다.
대주주 역할을 하겠다는 논리였다.
정부지분이란 수출입은행(32.5%)과 한국은행(10.7%) 몫을 말한다.
수출입은행 지분도 한은이 우회출자한 것이다.
한은과 정부는 구별돼야 하겠지만 이번에 한은이 일정부분이라도 목소리를 냈다는 흔적은 찾기 어려웠다.
정부내에 이견은 없었던가.
후보가 정해지기까지 재정경제부와 금융감독위원회의 중간 반응을 정리해보면 다소간 이견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재경부 관계자는 10일 오후까지도 "이강원 후보는 아니다"라고 전했다.
두 부처간 '동상이몽'이 왜 빚어졌는지는 앞으로 풀려야 할 수수께끼 가운데 하나다.
노동조합을 위시한 외환은행 종사자들은 의사를 관철했으며 결국 원하는 후보를 선임했는가.
이 대목에서는 반응이 다소 엇갈리는 것 같다.
다만 관이나 감독당국에서 점찍어 내려오는 방식은 막았다며 최소한 '절반의 성공'은 거뒀다고 자위하는 듯한 분위기다.
정부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관 출신은 관(棺)으로 밖에 못간다"는 푸념이 나올 정도로 '낙하산시비 노이로제'가 심각했다.
능력여부를 떠나 재경부나 감독원 출신은 무조건 차단하겠다는 것 역시 노조의 눈치를 과도하게 살핀 것이었을 수 있다.
아니면 당장의 시빗거리만 막겠다는 얘기가 된다.
행장선임 방식을 진지하게 되돌아볼 시점이 됐다.
허원순 경제부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