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정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치전문방송이 등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양대선거와 시민단체ㆍ언론의 역할'이란 주제로열린 제3차 NGO포럼에서 황근 선문대 교수는 "법과 제도에 의한 규제를 줄이는 대신사회적 규제로 선거방송의 공정성을 감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의민주주의를 보완하고 정치과정을 원활히 해줄 것으로 기대됐던 TV가도리어 정치참여를 저해하고 정치 본질을 왜곡시키는 주범으로 꼽히고 있다"면서 최근 TV 토론을 비롯한 각종 선거관련 프로그램이 미디어용 정치이벤트로 전락하는 사례를 지적했다. 이어 그는 선거기간에 집중적으로 상업화된 선거방송에만 의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의 C-SPAN과 같은 정치전문방송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최연구 포항공대 교수는 인물 대결에만 매달리는 선거보도 풍토를 강한 어조로비판했다. 그는 "선거는 언론이나 정치집단이 후보자의 자질과 사상을 검증하는 절차가 아니라 다양한 선택지를 제시하며 자유로운 논쟁을 유도해 민의가 정치적 선택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민주적인 절차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종빈 명지대 교수는 "16대 총선 당시 시민단체의 낙천ㆍ낙선운동은 서울ㆍ경기지역의 경우 6.5% 정도의 득표 손실을 가져왔으며 낙선운동 대상 후보가 출마한지역구의 투표율이 전국 평균에 비해 2.5% 가량 높게 나타나는 등 선거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그는 "낙선운동은 지금까지 일방적으로 운영됐던 국가와 정치사회에 견제와 비판을 제도화하는 계기를 만든 것"이라며 "활동가 및 지식인 중심의 활동에서 탈피해시민의 참여를 최대한 이끌어낼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손혁재 참여연대 운영위원장은 시민단체가 할 수 있는 선거관련 활동으로 △유권자 교실 개설 △공청회와 토론회 개최 △후보자 초청 토론회 △선거감시단 구성△공약과 정책 요구 등을 들었다. (서울=연합뉴스) 이희용기자 heey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