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강남지역을 중심으로 일고 있는 부동산열풍과 관련해 많은 전문가들이 부동산문제로만 접근할 게 아니라 교육 등 복합적인 처방책이 동원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특히 일부 전문가들은 부동산 가격폭등의 한 원인인 강남8학군행을 막기 위해 가능하다면 일산 분당 등지의 고교 평준화문제도 신중하게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번 부동산 가격 폭등에는 재건축 기대감에 따른 투기적인 요인도 있지만 좋은 학원,명문 고교를 좇는 교육열이 크게 한 몫했다"며 "이를 잠재우기위해서는 일산 분당 등지의 고교 평준화문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그동안 비평준화라는 프리미엄때문에 일산 분당 등지의 명문고들이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는데 올해 평준화로 전환되면서 이들 지역 학생들의 강남행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고교 평준화가 불가피하다면 자립형사립고와 특수목적고 등을 하루빨리 도입해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원하는 학생과 학부모들의 요구를 해소시켜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계층간 위화감 조성문제가 자립형사립고 도입의 최대 걸림돌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러나 최근 특정지역의 부동산가격 폭등사태는 더 큰 사회적 위화감을 조성하는 문제를 낳고 있지않느냐"고 꼬집었다. 김수찬 기자 ksc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