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밤 10시 55분 방송된 MBC「100분토론」'기로에 선 한총련, 그리고 학생운동'은 국민의 정부 출범 이후 지상파 방송 사상 처음 마련된 전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에 대한 토론장이었다. 정치권 또는 기성세대를 대표하는 패널들이 '친북-반미' '구호로서의 통일' 또는 '북한에 대한 오판' 등 기존의 대북인식에 입각해 한총련을 비판했고 한총련측은 이들의 공세에 밀려 자신들이 추구하는 목표와 이상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지만 한총련 문제를 토론의 장에 올렸다는 점은 높이 평가될 만하다. 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원장은 '주한미군 철수 주장이나 통일 문제에 대한 잘못된 인식' 등을 들어 한총련 운동 방향의 전략적, 전술적 변경을 요구했고 김문수 한나라당 국회의원은 한총련 지도부가 북한 방송 문건을 소지하는 등 북한의 지시를 받고 있다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며 "국가보안법이 있는 한 한총련은 이적단체"라고주장했다. 한총련 학생들 변호를 맡고 있다는 새천년민주당의 이종걸 인권위원장도 '주한미군 철수'나 '북-미 평화협정' 등 북한의 주장을 아직도 한총련이 수용하고 있다며 친북성 또는 이적성 시비의 여지를 부분 긍정했다. 김 의원 등의 '주사파' 시비에 대해 지난달 28일 4년 만기 복역후 출소한 5기 한총련 의장 강위원씨는 "통일문제는 북한 및 북한이 지향하는 사상과 이념의 문제이기도 하므로 '주체사상'을 이해하려는 노력은 분명 있지만 결코 주체사상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거나 전파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정명수 전대협 동우회 회장(2기 전대협 의장 권한대행)도 "학생운동 조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 같다"며 "한총련 지도부가 특정 사상을 신봉하는 그룹에 의해 좌지우지된다고 믿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강 씨는 또 친북성 논란 또는 주한미군 철수, 통일문제에 대한 '집착'에 대해서는 "기성 정치권이 이 문제 해결에 적극성을 보였다면 학생들이 굳이 교실 밖으로 나서지 않았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강씨와 정 회장은 시간상 제약 등으로 한총련이 과거 북한이 주창했던 연방제 통일 방안을 수용했던 이유와 6.15남북공동선언 이후 이를 수정하게 된 동기및 주한미군철수 주장에 대한 자신들의 입장을 충분히 납득시키지 못했다. 또 6.15남북공동선언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일부 통일운동단체 또는 시민사회단체들 역시 주한미군 철수 문제나 북-미 평화협정 체결 등에서 한총련과 같거나 유사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했더라면 하는 아쉬움도 남는다. 사회자인 유시민 씨는 "한총련 문제에 대한 토론을 시작한데 만족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진욱기자 kjw@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