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의 짝짓기 움직임이 빨라지는 느낌이다.

그렇지 않아도 이기호 경제수석이 "1∼2건의 대형은행간 합병이 금명간 윤곽을 드러낼 것"이라고 말해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 마당에 최근 신한은행과 외환은행이 잇달아 다른 우량은행과의 합병 또는 금융지주회사 설립을 통한 대형화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시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특히 기록적인 저금리시대를 맞아 시중자금이 은행권에서 이탈하고 있어 살아남기 위한 은행들의 이합집산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은행의 대형화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세계적인 추세다.

영세한 국내은행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물론이고,구조조정을 주도하는 선도은행 출현이 시급하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문제는 단순통합으로 덩치만 키운다고 저절로 경쟁력이 생기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있다.

합병에 따른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은행점포와 인력의 과감한 재배치는 물론이고 영업전략 자금운용방식 리스크관리 등에 대한 철저한 재검토가 뒤따라야 마땅하다.

은행합병이 자율적으로 추진돼야만 하는 당위성도 여기에 있다고 본다.

최근 시중은행들의 합병 움직임이 빨라진 배경에는 이달중에 구조조정의 큰 틀을 마무리짓고 앞으로는 은행이 중심이 된 상시 구조조정 체제로 가겠다는 정부구상도 상당히 작용한 것 같다.

엊그제 국무회의에서 김대중 대통령이 "앞으로는 금융기관이 중심이 돼 개혁을 하는 새로운 단계로 들어간다. 이는 정부주도에서 민간주도로 개혁이 넘어감을 의미한다"고 강조한 대목도 같은 맥락이다.

어쨌든 금융구조조정을 예정대로 순조롭게 끝내고 금융시장을 빨리 안정시켜야 한다는 것은 분명한 일이다.

정부가 주요 은행들의 대주주로서 금융구조조정에서 상당한 역할을 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점은 피치사를 비롯한 국내외에서 어느정도 인정하고 있다.

이점에서 정부가 대주주인 기업은행과 외환은행이 합병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도 이해가 된다.

그러나 한빛은행이 중심이 된 지주회사의 역할에 대해 구구한 논란이 있는데다 지난해 전격적으로 발표된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의 합병과정에서 불거진 불협화음을 감안할때 시한에 쫓긴 나머지 은행합병이 타율적으로 추진돼서는 결코 안될 것이다.

시중은행이 금융지주회사 설립을 통한 독자생존을 고집할 경우 정부가 무리하게 합병을 강요해서는 안될 것이며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시장자율에 따른 금융구조조정을 추진해야 마땅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