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금리인하 조치가 세계 경제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연준리의 통화정책 기조가 ''금리인하'' 쪽으로 완전히 선회했는가부터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히 충격요법(shock therapy)으로 일회성에 그칠 경우 그 효과는 일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번 조치는 선제적 차원에서 미국 경제의 경착륙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강하다.

지난 98년 9월말 이후 미국 경기는 국민소득(GDP) 기여도가 약 70%를 차지하는 민간소비가 주도해온 점을 감안할 때 주가 하락으로 민간소비가 둔화되면 경기가 급락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동시에 지난해 6월말 이후 금리인상 과정에서 연준리가 의도하는 경제성장률 3.5∼4%, 소비자물가상승률 2.5∼3%를 유지하기 위한 적정금리 수준이 5%대로 판명됐다.

현재 미 국민들의 자산 부채상황, 기업들의 수익구조를 감안할 때 6%대의 금리는 민간소비와 설비투자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조치 이후 연준리가 시사한 바대로 앞으로 미국 금리는 경기여건에 따라 0.5∼1%포인트 추가 인하될 수 있는 여지가 높은 상태다.

최근처럼 금융이 실물부문을 주도하는 상황에서 미국 금리가 인하되면 어떤 정책수단보다도 세계 경제를 안정시키는 효과가 크다.

벌써부터 세계 증시의 제2의 유동성 장세와 세계 경제의 조기회복을 점치는 시각도 이런 차원에서 이해된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미국증시 하락과 함께 왜곡됐던 국제간 자금흐름도 시정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투자자금이 국채시장에 몰리면서 회사채와 국채수익률간의 양극화 현상과 수익률 저하로 미국의 각종 기금들이 해외에 투자한 자금을 회수하는 움직임은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으로서도 경기연착륙 달성을 통해 오는 20일 공식 출범하는 부시 정부의 대내외적인 입지를 넓혀주는 동시에 미국의 위상을 재확인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 경제는 국내금융시장 안정과 수출증대, 외채이자 경감효과가 기대되지만 대미 편향적인 경제구조가 심화되고 구조조정 의지가 약화되는 부정적 측면도 있다.

한상춘 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