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 대통령 시절에 같은 시기에 몇몇 언론기관에서 발표한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가 각각 67%, 44%, 32% 등으로 제각각 다르게 나타나서 이를
놓고 한때 조작의혹이 일어난 적 이 있었다.

이처럼 20%포인트 이상의 차이는 사회 각계로부터 여론조사의 신뢰도에
심각한 의문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내용을 알고 보면 그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명백하다.

조사문항은 "김영삼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십니까? 아니면 잘못 수행하고 있다고 보십니까?"로 세 조사가 모두
같았다.

다만 응답문항이 다르게 되어 있었던 것이다.

어떤 조사에서는 응답항목이 "매우 잘하고 있다" "비교적 잘하고 있다"
"그저 그렇다" "별로 잘하지 못하는 편이다" "매우 잘못하고 있다"는 5점
척도를 사용했다.

반면에 한 조사에서는 "그저 그렇다"가 빠진 4점 척도를 사용했다.

응답항목이 줄어들면 당연히 다른 응답항목에 대한 응답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20% 정도의 지지도의 차이는 "그저 그렇다"는 중립적 항목이 삭제
되었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다.

특히 우리 나라 사람들은 대통령에 대해 "잘못한다"고 말하기를 꺼리는
경향 때문에 "그저 그렇다"를 뺀 4점 척도를 쓰면 "잘한다"는 응답이 5점
척도를 쓸 때보다 20-30%는 높게 나온다.

따라서 어떤 조사가 맞고 틀리다고 단정짓기보다는 응답항목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면 중립항목이 꼭 포함되어야 하느냐가 문제가 된다.

지지도나 투표와 같은 문항의 경우 어차피 지지하느냐 아니면 지지하지
않느냐로 결정이 될테니까 중립항목을 없애고 강제로 응답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반면에 정치적이나 인간적으로 호, 불호의 감정이 분명하지 않은 부동층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중립항목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따라서 중립항목의 포함여부는 조사의 목적에 따라 알맞게 결정이 되어야
한다.

중요한 점은 어떤 응답항목에 대한 응답비율을 높이려는(혹은 낮추려는)
조사자의 의도가 개입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김진호 < 국방대학원 교수 gemkim@unitel.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6월 2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