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에 부는 변화의 바람은 어느 공기업보다 거세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한전은 직원이 3만8천명에 달하는 초매머드급.

올 한해 예산만 14조8천4백억원에 달하는 간판급 공기업이다.

새정부가 한전 사장을 공개모집할 때부터 뼈를 깎는 개혁은 이미
예고됐었다.

한전은 장영식 사장 취임직후 변혁의 신호탄을 올렸다.

전무급 고위간부 인사를 통해서였다.

한전 창사이래 "첫 직제축소" "최대규모 퇴임"을 기록했다.

이에따라 직제는 2부사장 1실 5본부 6사업단에서 2부사장 4본부
5사업단으로 축소됐다.

정보통신본부 대외전력사업단 종합조정실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상위 직제 폐지로 종합조정역 정비기획실 시스템개발실 해외사업처
원자력안전실등 본부 처장급 8개 직제도 없어진다.

하부조직의 경우 조만간 감축작업이 시작돼 잉여인력은 일선사업소에
전진 배치된다.

사업부문에 대해서도 군살빼기에 나서고 있다.

현재 정보통신사업과 해외발전사업을 대상으로 검토중이다.

정보통신의 경우 추가투자가 필요한 곳은 과감히 손을 뗀다는 방침이다.

해외발전사업도 달러를 써야 하는 것들이라면 모두 중지할 계획이다.

군살빼기를 하면 경영효율성도 높아지지만 재무구조가 개선된다는게
한전 생각이다.

한전의 부채는 30조원이나 된다.

이중 외채가 1백억달러로 1년동안 원리금만 20억달러가 필요하다.

따라서 수익이 즉시 발생하지 않는 신규사업을 전면 보유하고 추가투자가
필요한 사업을 중지한다면 새로 빚이 생기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는 별도로 연탄 석유 액화천연가스(LPG)를 연료로 때는 발전소 일부를
매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경영혁신과 관련, 한전은 발전 원전 송.배전등 3개부문으로 사업을
나눈다는 구상이다.

부문별 상호견제를 유도함으로써 경영합리화를 꾀하겠다는 포석이다.

이는 부문별 독립채산제나 사업분리로도 연결되는 구상이다.

한전의 구조조정은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공모사장의 개혁드라이브와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방침을 감안할 때 그렇다.

하지만 한전이 의도대로 개혁을 추진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한전 노조원들로 구성된 전국전력노조연맹은 쉬운 상대가 아니다.

또 산업자원부와 기획예산위원회간에도 의견 차이가 있다.

한전 개혁의 향방도 이들 내.외적 요인에 좌우될 공산이 크다.

< 박기호 기자 khpark@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