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우려대로 국제통화기금(IMF) 한파가 물가전선에서도 맹위를 떨치고
있다.

지난해 11월까지만해도 연초대비 소비자물가(누계) 상승률은 3.9%에
불과했다.

그러나 12월들어 2.5%나 폭등하면서 연말기준 지난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6.6%로 치솟았었다.

당초 목표(4.5%)달성에 실패했음은 물론이다.

도매물가 역시 지난해말 기준(전년말대비) 10.9%나 급등했고 이같은
흐름은 올들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지난 1월의 경우 4.9%나 물가가 올라, 최근 1년간을 따질 경우 15.2%나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원인=무엇보다도 외자수급 여건이 나아지지 않아 원.달러 환율이
상승세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중 월 평균 환율은 9백21원85전이었으나 11월에는 1천25원58전
으로, 12월에는 1천4백84원33전으로 2개월만에 61% 올랐다.

지난 1월에도 1천7백6원80전으로 1개월전보다 또 14.9% 상승했다.

이에따라 수입물가상승률도 지난해 12월 25.9%, 1월 17.8% 등으로 앙등세를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 석유류에 붙는 교통세가 올해부터 인상됐고 공공요금도 인상됐다.

특히 물가상승이 예견되면서 밀가루 식용유 등에 대한 매점매석이 극성을
부렸고 개인서비스요금의 편승인상도 잇따랐다.

이에따라 1월중 소비자물가의 경우 프로판가스(26.6%) 도배지(23.1%)
비닐장판(21.9%) 달걀(21.6%) 목욕료(18.1%) 빵(17%) 도시가스(14%)
조리라면(12.9%) 등이 큰폭으로 올랐다.

생산자물가에서는 골판지상자(69.2%) 전기동(36.4%) 돼지고기(28.9%) 등이
20%이상 올랐다.

<>전망=소비자물가는 제조및 유통단계에서 환율상승에 따른 원가상승분의
일부를 흡수할수 있다.

그러나 도매물가의 경우 중간재및 원자재를 주요 대상으로 하는 만큼 환율
상승분이 그대로 반영될수 밖에 없다.

하루빨리 환율을 안정시키지 않는 한 "고환율-고물가-고금리"의 악순환이
거듭될수 밖에 없다.

IMF는 환율이 떨어지기전까지는 현재의 고금리체제를 유지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여기에 수도권 아파트가격 자율화로 기존 아파트가격도 들먹거릴수 있다.

이에따라 벌써부터 올해 소비자물가전망치(9%) 달성은 이미 물건너 갔다는
비관론도 제기되고 있다.

대규모 실업이우려되는 터에 물가마져 두자리숫자로 오를 경우 중산층이하
국민의 고통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뉴욕협상 타결이후 환율이 하향안정세에 접어들었고 <>수요가
여전히 부진하고 <>국제원자재시세및 부동산가격도 보합 또는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어 2월이후에는 큰폭의 물가상승이 없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환율이 안정될 경우 2.4분기부터 공공요금 인상을 검토할수 있다고
밝혀 당분간 스태이그플레이션 현상이 이어질 것임을 시사했다.

올해 한자리수 물가 달성 여부는 환율 동향및 범정부적인 물가안정 노력,
국민적인 물가감시체제 구축 등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최승욱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