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대우 건설부문은 지난 한햇동안 2,000여명의 기술자 및 현장
담당 직원을 일본에 파견, 현지 건설현장에서 직접 일본식 건설공사
관리기법을 체험토록 했다.

마치 전자제품을 생산하듯 정교한 관리방식으로 현장을 꾸려나가는
곳이 일본이어서 품질경영의 교과서로 삼은 것이다.

대우는 이들로부터 습득한 품질경영기법에다 자사의 해외시공경험을
접목시킨다면 국내현장에서 부실공사라는 용어를 추방시킬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성수대교 붕괴사고 이후 건설업체의 완벽한 시공품질확보는 발등의
불이 되고있다.

이제 부실공사를 한 업체는 경쟁에서 탈락할 것이란 절박감에다
건설시장개방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도 "고품질시공"이 최우선적인
과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업계의 전반적인 품질경영체제도입도 가속화되고 있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9월 회사의 경영방침을 "품질중심의 인사관리"로
바꾸고 모든 관리체계를 품질위주로 개편했다.

이에따라 건축사업본부 및 주택사업본부의 설계실 건축 구조 설비
전기 조경등 각종 분야별 과장급이상 임직원 70여명으로 구성된
자체감리단을 운영, 월 1회씩 현장을 직접 방문토록 하고 있다.

감리단으로부터 같은 내용으로 두번이상 지적을 받으면 해당 현장의
임직원은 승진에서 누락되는 것도 감수해야 할 정도여서 자체감리단은
공사현장의 "암행어사"로 군림하고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신건설선언"을 통해 <>외국전문기관 상주품질
관리제도 실시 <>건축물 골조의 평생품질보증제도 <>건설기능대학운영
<>건설명품전략추진 등 품질향상을 전사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외국인 상주감리를 위해 미국의 파슨즈사, 영국의 트라팔가사 및
타이우드사 등과 감리계약을 체결, 52개 현장에 57명의 외국인 전문가를
상주시켰다.

올해에는 100여개 현장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 회사관계자는 "외국인 감리제 도입으로 연간 300억~400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있으나 원칙을 무시한 건설관행을 근절하고 부실시공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불가피하다"고 밝히고 있다.

금호건설은 "일류품질은 일류직원에서 나온다"는 품질경영방침에 따라
예전국 주요 대학들에 위탁, 대리급 이상 전직원들이 6개월씩 단기
경영학석사 과정을 이수토록 하고 있다.

기술인력은 별도로 서울 공대에서 5개월 코스의 품질경영 과정을
수료토록 하고 있다.

사실 요즘 업계의 이같은 품질경영을 위한 노력은 거의 몸부림에
가깝다.

과거의 "부실추방" "품질시공" 구호가 대개 부실공사에 대한 정부와
여론의 따가운 질책을 피하기 위한 일과성 시늉에 그쳤다면 최근의
"품질우선주의"선언은 생존을 위한 자구노력으로 표출되고 있는
것이다.

건설업계의 오랜 연고수주관행이 무너지고 있고 품질및 시공능력이
갈수록 중시되는 경쟁환경에서 "그품질시공"은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는 당면과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업계의 품질경영생활화를 위한 노력은 품질에 대한 고객의
객관적 검증을 통한 "고객만족경영"으로 확산되고 있다.

LG건설은 아파트공사를 할때 공사단계를 7단계로 나눠 품질검사를
실시한다.

각 단계별로 본사의 품질보증팀이 점검한후 품질검사증을 부착하는
한편 품질검사증에는 검사를 하는 사람과 검사를 받은 사람의 이름이
동시에 기입된다.

이 품질검사증 7장이 모아져야 현장에선 입주를 위한 마무리 작업을
할수 있다.

마치 자동차공장에서 자동차 주요 부위별 품질검사필증이 있어야
출고시키는 것과 같은 방식을 건설현장에 도입한 것이다.

제조업의 품질관리기법을 건설업에 접목시킨 이 관리기법은 고객의
눈으로 품질을 최종점검하는 단계까지 진행된다.

주부모니터요원과 입주자들의 지적들은 고객카드로 정리돼 컴퓨터에
입력되고 해결내용이 통보된다.

선경건설은 아파트현장에 1차로 입주 45일 이전에 회사자체점검을
실시하고 2차로 입주 30일전에 입주예정자들을 초청, 고객 스스로
살집의 품질을 점검토록 하고 있다.

입주때 가구별로 나눠주는 입주생활안내책자에는 하자보수신고요령이
상세하게 기입돼 있어 입주자들의 불만이 있을 경우 야간에도 신고할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중이다.

이처럼 업계의 "품질우선주의"는 어느때보다 절박한 경영이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과거의 적당주의 시공, 나눠먹기수주 등 잘못된 관행에서 벗어나지
않는한 이제 살아남기 어렵다는 위기의식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 김태철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3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