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수준 척도의 하나로서 인간대접 수준의 정도를 언급한 것에 대하여
충분히 인정한다.

그러나 손교수의 의견에 다소 견해차가 있어서 한 말씀드리고자 한다.

손교수께서 그러한 문제당사자의 일방에서 한 말씀인지, 글자 그대로
생각가는대로 수상을 한 것인지는 몰라도 문제의 본질을 왜곡 호도하려는
그 자세는 수정을 요하는 바이다.

본인은 모고의 동창생이 아니라 그 점은 인지하지 못한 것이므로 론외로
하고 후단부의 "강남구주민의 강자운운"한 점에 언급하고자 한다.

그 글을 읽는 제3자는 마치 "우리 주민이 온갖 부와 힘을 동원하여 장애인
교육기관의 설립을 방해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잘못 전달할 우려가 다분히
내포되어 있다.

강남구 일원동에서 주민과 마찰이 되어온 토지는 소위 초등학교용부지로
결정된 땅이었다.

이를 "밀알교단"측이 매입한다는 사실에, 95년봄부터 원래목적에 충실히
사용해줄 것을 시교육청 구청등에 탄원하여 온것이다.

이러한 주장의 배경은 "초등학교 과밀화" 때문이다.

본인의 장남은 94년과 95년 1학기까지 2부제수업을 받았는데 최근
삼성생명이 새 아파트단지를 조성하고 있어 이것이 완공되면 현재도 2부제
수업중인 왕북초등학교의 과밀현상심화는 명약관화하다.

우리주민의 의사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강력한 교단의 위세를 이용하여
손해배상청구를 제기한 교회측이 "강자"이지 어찌 우리주민이 강자인가.

글에 쓴 대치현장을 손교수는 목도한 일이 있으신지?

2부제수업이 아닌 양질의 교육환경에서 교육받을 권리가 교회세력앞에서
무력화되는 것을 손교수는 느껴보셨는지?

장애인교육시설이 아닌 교회의 대규모시설이 들어서지 않는다고 누가
보장해 줄수 있는지?

"대토"를 제공한다해도 "그곳이어야만 한다"고 교회측이 말했다는 사실도
들었다.

그들에게 "그곳이어야만" 한다면 우리자녀들에게도 "그곳이어야만" 한다는
점에 재론의 여지가 없다.

장애인교육에 대한 책임은 국가에 있다.

그래서 우리는 세금을 내는 것이며, 또한 교육재원의 확보라는 취지에서
교육세도 내고 있는 것이다.

민간인, 아니 그이상의 집단적 힘을 가진 교회가 장애인교육기관을 세운다
는 취지를 액면 그대로 수용하기엔 어려움이 없지 않다.

최근 언론의 보도는 마치 주민의 집단이기주의가 발동하여 교회의 숭고한
뜻을 방해하고 있다는 듯이 교회 일방의 의사만이 반영된듯 보여진다.

마치 장애인학교를 설립하려는 거룩하고 숭고한 뜻을 지역주민의 님비로만
몰아붙이는 처사는 일의 전말을 오해한 처사로 밖에 볼수 없다.

과연 주민이 다치는 불상사까지 야기하면서까지, 그것도 모자라 주민상대로
30억원이 넘는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내며 주민의사를 무시하려는 처사,
손교수와 같이 문제의 전말을 제대로 이해못하면서 "집단이기주의및 약자의
권리보호에 무관심한 공권력" 운운을 이지역주민은 납득할수 없다.

손교수는 "민간인들이 푼돈을 모아"라고 했는데 왜 "밀알교단"이라고
언급하지 않았는지?

강자는 주민이 아니라 교회라는 것을 명확히 인식했으면 한다.

김석연 < 서울 강남구 일원동 >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