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총 21세기노사관계 개혁추진위원회는 29일 중소기업회관에서 "기업의
인력관리 혁신방안"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 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은 무한경쟁시대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지식평가위주 선발방식을 개선해야한다는데 의견을 함께
했다.

주제발표내용과 주요그룹의 채용방식 개선사례를 요약, 소개한다.

< 편집자 >
***********************************************************************

[[[ 교육개혁과 인력정책 변화방향 ]]]

김태기 <노동연구원 연구위원>

90년대에 들어 대기업을 중심으로 능력주의 인사제도가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학벌주의를 지양하는 교육개혁의 정신과 합치된다.

교육개혁은 학력이 아니라 능력이 존중되는 사회를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움직임은 더욱 가속화될 수 밖에 없다.

인력의 최종수요자인 기업의 인사관행은 교육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교육개혁의 성공을 위해 기업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얘기다.

기업은 능력존중의 사회를 만들기 위해 "매력있는 직장"을 조성하는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참여할 수 있는 직장<>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직장<>능력과 성과가
존중받는 직장풍토를 조성해야한다.

기업은 이런 노력을 통해 종업원만족도를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할수
있다.

또 "매력있는 직장"이 만들어져야 교육의 정상화를 가져오고 노동시장의
질도 높일 수 있다.

각 기업은 우선 채용과 인사관리에서 성 나이 출신학교등에 따른 차별
대우를 없애나가야 한다.

채용단계에서는 학생들의 성적보다는 성장과정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자료를 활용해야한다.

차별대우는 입사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좋지 않은 이미지를 줘 기업의
경쟁력을 떨어뜨리게 될 것이다.

승진이나 배치도 종업원의 소질을 개발하는 방식으로 개선해야한다.

평가방식도 사후적인 성과만 단순히 측정하는데서 탈피해 종업원의
자기계발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바꾸어야한다.

특히 능력주의 인사제도가 정착되기 위한 기반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업의
인력개발투자확대가 필요하다.

국가나 협회차원의 자격제도를 적극 활용하거나 사내자격제도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교육개혁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기업은 또 산학협동을 선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그래야 교육이 현장과 가까와 질수 있다.

각 기업은 물적, 인적, 정보자산 측면에서 산학협동을 강화해나가야한다.

대규모 인력을 필요로하는 기업의 경우 학교를 직접 설립.운영할 필요가
있다.

전문화된 기업은 특정학교 특정학과를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인적자산 관리측면에서는 기업이 대학, 전문대학, 공업고등학교와 연계,
공동연구를 할 수도 있다.

기업체직원이 학교에서 진로상담에 응하거나 파트타임교사등으로 참여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8월 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