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국내 자본의 귀환… 지난해 대형빌딩 거래액 5.2조 중 85% 차지

외국계 투자비중 2016년 52%서 15%로 급락

개인 공모 부동산펀드 새로운 매입 주체로 떠올라
▶마켓인사이트 1월24일 오후 3시15분

지난해 매물로 나온 국내 대형 오피스빌딩의 85%를 건설사 연기금 공제회 등 국내 자본이 사들인 것으로 조사됐다. 외국계 투자 비중은 15%로 전년(52%)에 비해 급전직하했다.

24일 글로벌 부동산컨설팅업체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오피스빌딩 거래 규모(연면적 3만3000㎡ 이상 건물 기준)는 총 5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85%인 4조3700억원어치를 국내 ‘큰손’들이 사들였다.

지난해 가장 큰 상업용 부동산 거래는 국내 운용자산(AUM) 1위 부동산 자산운용사인 이지스자산운용이 매입한 서울 시그니쳐타워(사진)였다. 가격은 7260억원이다. 유안타증권이 NH아문디자산운용을 통해 매입한 을지로 유안타증권 빌딩(2100억원), 교원그룹이 사들인 KEB하나은행 을지로별관(910억원) 등도 주목받은 대형 거래였다.
부영그룹은 지난해 초 인천 송도 포스코타워(5000억원)에 이어 삼성화재 서울 을지로 빌딩(4500억원) 매입을 마무리했다. 지난해 말 부영그룹이 KEB하나은행과 본계약을 체결한 을지로 KEB하나은행 본점 빌딩(9000억원)은 2년간 자금 납입을 유예하는 조건에 따라 이번 통계에서 빠졌다. 부영그룹은 임대아파트 등 주거용 부동산에서 상업용 부동산 임대 및 재개발 분야로 사업 영역을 넓히기 위해 도심권 대형 빌딩 투자를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다.

외국계 큰손 비중은 15%로 떨어졌다. 2012년(13%) 이후 최저치다. 2016년에는 총 거래액 9조5000억원 중 52%인 4조9000억원을 외국계 투자자가 차지했다.외국계 투자자 비중이 축소된 것은 국내 자본의 공격적인 투자에 밀린 결과라는 평가다. 국내 오피스빌딩에 관심이 식은 게 아니라는 얘기다. 장재훈 JLL코리아 대표는 “지난해 블랙스톤 골드만삭스 싱가포르투자청 등 외국계 큰손들이 꾸준히 한국 부동산 입찰에 참여했고, 올 들어서도 관심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개인 자산가도 공모형 부동산 펀드를 통해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주요 매입 세력으로 떠올랐다. 농협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등 은행 기반의 금융그룹 계열사들이 국내 부동산 블라인드펀드(투자처를 정하기 전에 자금을 모은 펀드)를 통해 대형 매물 입찰에 참여했다. 보험사와 증권사에서 관리하는 퇴직연금 계정과 주택도시기금 등 정부 기금이 대체투자에 나선 것도 지난해 오피스빌딩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은 요인으로 꼽힌다.

장 대표는 “프라이빗뱅킹(PB)센터 등 다양한 성격의 자금이 증권사 창구로 들어온 데다 국내 부동산 운용사 설립 방식이 등록제로 바뀌면서 전체적인 시장 외형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올해도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 토종 자본의 우위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지난해 말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경기 성남 판교 알파돔시티 6-3, 6-4 빌딩과 서울 광화문 더케이트윈타워는 각각 미래에셋자산운용, 신한리츠운용, 삼성SRA자산운용이 따냈다. 이들 거래 규모만 1조7000억원에 이른다.

김대훈/선한결 기자 daepu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