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항공모빌리티(UAM) 분야의 복합재 기술개발을 위해 현대차그룹과 한국항공대학의 업무협의 체결 모습. 항공대 제공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분야의 복합재 기술개발을 위해 현대차그룹과 한국항공대학의 업무협의 체결 모습. 항공대 제공
한국항공대학이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분야의 복합재 기술개발을 위해 현대차그룹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현대차그룹의 복합재 개발 허브센터인 복합재 개발동과 한국항공대 사이에 체결됐다.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복합재 개발과 복합재 전문가 양성을 위해서다. 두 기관은 △복합재 소재 및 공정 표준화 △저비용 고품질 대량생산이 가능한 UAM 복합재 개발 △미래 모빌리티 차량 복합재 개발 △산학협력을 통한 복합재 전문가 육성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UAM 시장은 2040년 150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글로벌기업과 세계 유수의 대학들이 UAM 관련 공동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우버와 조지아텍, 포드와 미시간대, 롤스로이스와 크랜필드대 등이 UAM 관련 기술을 공동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대차그룹은 2026년 화물용 무인항공시스템(UAS)을 선보이고 2028년 완전 전동화 UAM 모델을 출시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지난 10일에는 한국, 미국, 싱가포르의 3개국을 거점으로 UAM 기체 생산, 운영, 인프라까지 모두 아우르며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이끌겠다는 청사진을 발표하기도 했다.

한국항공대는 올해 안에 UAM 총괄 기구인 미래항공모빌리티기술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다. 올해 스마트드론공학과, 2022학년도에 AI 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를 각각 신설하는 한국항공대는 전체 학과 및 연구소의 자원을 통합 활용할 수 있는 미래항공모빌리티기술센터를 통해 UAM 생태계 조성에 핵심 역할을 하겠다는 계획이다.

미래항공모빌리티기술센터는 이번 업무협약 포함된 복합재 소재 및 공정 연구 이외에도 자율비행제어 및 비행시험, 인프라 및 교통관리, 조종사·관제사·정비사 등 전문인력 양성 등 UAM 산업 발전에 필요한 다양한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한다.

고양=강준완 기자 jeff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