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중국 합작파트너인 베이징자동차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이유는 합작사 베이징현대의 부품 공급체계를 둘러싼 다툼이 심각한 양상으로 치닫고 있기 때문이다. 베이징차는 최근 경영난을 이유로 한국 기업이 주류를 이루는 베이징현대 부품사들에 납품대금 지급을 미루면서 20% 이상의 단가 인하를 요구했다. 이어 기존 협력사 대신 부품값이 30%가량 싼 중국 현지 부품사로 공급망을 교체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하고 있다. 중국에 현대차와 비슷한 방식으로 진출한 기아자동차와 현지 한국 협력사들도 잔뜩 긴장하고 있다.
결별설 흘리는 중국 합작사… 현대차 '사드구팽'?
베이징차의 노골적 불만 제기

현대차와 기아차는 2002년 중국에 진출했다. 현대차는 베이징차와 지분 50 대 50 형태의 합작사 베이징현대를 세웠으며 기아차(50%)는 둥펑차(25%), 위에다차(25%)와 함께 합작사인 둥펑위에다기아를 설립했다. 두 합작사의 연간 생산능력은 각각 165만 대, 89만 대에 달한다.

베이징현대의 경우 현대차는 설계·생산·판매, 베이징차는 재무를 주로 맡고 있다. 현대차 단독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구조다. 둥펑위에다기아 역시 마찬가지다. 이런 구조로 인해 2002년 합작사 설립 이후부터 내부적으로 크고 작은 갈등이 반복돼왔다는 게 현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중국에 공장을 둔 한 부품사 대표는 “베이징차는 수년 전부터 두 회사 지분이 50 대 50인데도 현대차가 주도권을 행사하는 데 불만을 품어온 것으로 안다”며 “특히 현대모비스 등 현대차 계열사에 비싼 단가로 부품 공급을 몰아줘 합작사(베이징현대)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을 해왔다”고 귀띔했다.

수면 아래 있던 갈등은 올 들어 사드 보복 여파로 중국 내 판매량이 급감하면서 겉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현대차와 기아차의 중국 내 판매량은 각각 40.7%, 54.2% 급감했다. 이로 인해 2분기에만 두 회사를 합쳐 5000억원에 가까운 적자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늪에 빠진 현대차

납품단가 인하 요구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베이징차가 베이징현대의 부품 공급망을 중국 현지 업체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는 점이다. 중국 업체들의 부품값이 한국 부품사 대비 30~40% 싸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현대차 측은 중국 부품의 품질이 너무 떨어져 가격이 아무리 낮더라도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회사 관계자는 “현지에 동반 진출한 800여 개 협력사의 생존 때문이라도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런 와중에 중국의 준(準)관영매체까지 가세해 현대차를 압박하고 나섰다. 환구시보 영문판인 글로벌타임스는 7일 “베이징차가 현대차와의 합작을 끝내는 것까지 고려 중”이라고 보도했다. 현대차는 “이해할 수 없는 악의적 보도”라며 반발하고 있지만 사실상 중국 정부의 의지가 담겨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접점도 거의 없는 상태다. 외신은 “베이징차는 공장가동 중단 문제를 현지 부품사 조달을 늘리는 방식으로 단기간에 해결하려 한다”며 “반면 현대차는 향후 5~10년 동안 점진적으로 해결하려는 의견”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가 베이징차의 요구를 일정 부분 수용하지 않으면 공장 가동이 정상화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베이징차의 고압적 태도에 비춰볼 때 현대차와 같은 방식으로 중국에 합작공장을 가동하는 기아차도 비슷한 상황으로 끌려들어갈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자동차업계는 한국 정부가 중국에 지금보다 훨씬 강력한 목소리를 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이 벼랑 끝에 내몰린 데다 한국 정부의 태도는 너무 미온적”이라며 “줄도산 사태가 일어나기 전에 실효성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창민/강현우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