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언 기자 misaeon@@hankyung.com
김병언 기자 misaeon@@hankyung.com
농협이 2020년까지 6000억원의 자체 자금을 투입해 축산농가 5100가구를 신규로 육성한다. 우선 올해 말까지 1000억원을 집행하고 내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매년 유통자금 1000억원씩을 축산농가에 지원할 방침이다. 추가로 정부 지원 약 7000억원을 끌어내 총 1조3000억원을 축산농가 사업에 투입하는 게 농협의 목표다.

이기수 농협 축산경제 대표는 2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축산농가 감소추세가 이대로 지속되면 한국의 축산업 기반은 얼마 지나지 않아 사라지고 말 것”이라며 “지금이 축산업 기반 붕괴를 막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말했다.

○2조9000억원 생산유발 효과

1995년 100만가구였던 국내 축산농가 수는 지난해 12만9000가구로 감소했다. 20년 만에 10가구 중 9가구 가까이가 사라진 것이다. 축산농가의 노화 또한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축산농가의 고령화율(65세 이상 노인 비중)은 44.3%로 전국 평균(12.2%)보다 3.6배 더 높다. 후계농도 찾기 힘들다. 지난해 기준 국내 한우농가의 후계농 확보 비율은 9.8%에 불과했다.

이 대표는 “고령화와 폐업으로 급감하고 있는 축산농가를 되살리기 위해선 후계농을 육성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강조했다. 우선 올 연말까지 농협 유통자금 1000억원을 투입해 신규 축산농가에 창업자금을 지원하는 한편 축산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축산 여건이 좋은 지역에 단지를 조성해 기존 농가가 이전하거나 젊은이들이 축산업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축산 귀농이나 후계농을 위한 종합상담센터도 운영하고 폐업을 앞둔 축산농가를 인수하면 자금 융자도 해준다.

이 대표는 축산농가 5100가구가 새롭게 만들어지면 축산물 생산액이 연 1조3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 산업까지 합하면 연간 생산액은 2조9000억원에 달할 것이란 예상이다. 이 대표는 늘어난 축산농가에서 창출되는 고용효과가 4만명을 웃돌 것으로 전망했다.

○대출금리 낮춰야

그동안 미국 유럽 호주 등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면서 경쟁력 약화를 우려한 축산농가의 자진폐업이 많았다. 막대한 시설 투자비와 종자 구입비 등 다른 농가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드는 축산농가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정부 정책도 농가 고령화를 초래한 한 원인이라는 게 이 대표의 지적이다.

이 대표는 우선 축산인 상속공제한도를 대폭 높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축산 역시 다른 농업 상속과 마찬가지로 상속공제한도가 5억원에 불과하다”며 “하지만 축산은 다른 농업과 달리 축사 등 시설이 많고 투자비가 많이 들어 중소기업에 준하는 혜택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의 상속공제한도는 500억원이다.

축산 정책자금의 금리 인하 필요성도 거론했다. 과거 연 3%였던 축산 정책자금 금리를 정부가 지난해 일부에 한해 연 2%대 후반으로 낮췄지만 여전히 높다는 주장이다. 이 대표는 “금리를 연 1%대로 낮춰야 후계농을 육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원기/심성미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