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 이래 최대 사업’이라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계속된 부동산 시장 침체를 이기지 못하고 부도를 냈다. 1·2대주주인 코레일과 롯데관광개발은 자본 잠식 상태에 빠지는 것이 불가피하고, 책임 소재를 둘러싼 3조원대의 소송전도 벌어질 조짐이다.

13일 용산 개발 시행사 드림허브의 사업 실행 회사인 용산역세권개발(주)은 12일 갚아야 하는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의 이자 52억원을 이날 낮 12시까지 내지 못해 채무 불이행 상태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드림허브가 땅을 담보로 금융권에서 빌린 돈은 모두 2조4000억원 규모다. 시행사가 보유한 잔금은 9억원에 불과해 하반기(6월12일~12월12일)에 만기가 돌아오는 원금과 3000억원대 이자를 갚는 것이 불가능하다. 드림허브 관계자는 “회생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다음달 초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고, 아니면 파산 절차를 밟게 된다”고 설명했다.

용산 사업이 채무 불이행에 빠진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거품이 급속히 꺼졌기 때문이다. 2006년에는 2조7000억원의 흑자가 예상됐지만 2010년엔 4조6000억원의 적자를 볼 것으로 추정됐다. 드림허브의 1대주주인 코레일 관계자는 “사업부지를 무단 사용한 우정사업본부로부터 받을 수 있는 배상금 64억원으로 급한 불을 끄려고 했지만 돈을 보관하고 있는 대한토지신탁과 지급 보증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파산으로 결론나면 30개 출자사는 시행사 자본금과 금융비용 등을 합쳐 최대 1조5000억원을 날리게 된다. 특히 2조4000억원의 토지 대금을 반환해야 하는 코레일과 1700억원을 쏟아부은 2대주주 롯데관광개발 등 일부 출자사는 자본 잠식 상태에 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롯데관광개발 등 민간 출자사들이 자금 지급을 거부한 코레일을 상대로 드림허브 출자금(7500억원), 1차 전환사채 납입금(1125억원), 개발 예상 이익(2조452억원) 등을 달라는 손해배상 소송을 낼 방침이어서 사활을 건 소송전도 펼쳐질 전망이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