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지적인 청약 과열인가? 부동산 경기회복의 전조인가?'

지난 13일 실시된 인천 '송도 더 샆 하버뷰Ⅱ' 1순위 청약에서 502가구 모집에 3만69명이 몰려 평균 60대 1 이란 경이적인 경쟁률을 기록하자 관련 업계는 물론 수요자들이 해석을 놓고 설왕설래하고 있다. 강남 재건축 추진 아파트에서 촉발된 '버블세븐(강남 서초 송파 목동 분당 용인 평촌)'지역 집값 상승에 이어 인천 청라와 송도에서 '청약 대박'을 기록하는 모습이 '예고된 시나리오'를 보는 듯 하기 때문이다.

◆3년 만에 다시 등장한 청약 열풍

지난 8일 문을 연 '송도 더 샾 하버뷰Ⅱ' 아파트 견본주택에는 청약 직전까지 총 4만명이 다녀간 것으로 포스코건설은 집계했다. 평일에도 견본주택 앞에 늘어선 사람들 줄이 300m에 달했고 주차장이 모자라 주차요원 40명이 진땀을 빼야 했다. 분양대행사 관계자는 "청라지구보다 분양가가 비싸 경쟁률이 60대 1까지 나올 줄은 상상하지 못했다"며 놀라워했다.

인천시 서구 신현동에서 공급하는 '신현 e-편한세상 · 하늘채'에도 14일 견본주택 개관일을 맞아 방문객이 미어터질 정도로 찾아들었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최근 2년간 견본주택엔 방문객이 거의 없었다"며 "이런 구름 인파는 3년 전인 2006년 분양시장 광경을 떠올리게 한다"고 전했다. 후분양 재건축 단지여서 전매제한이 거의 없어 부동산 중개업소들이 견본주택 앞에 장사진을 치고 일명 '떴다방' 영업을 하고 있다.

청약 열풍은 수치로도 쉽게 확인된다. 지난 6일 청라 한화꿈에그린은 1142가구 모집에 8412명이 청약해 7.4대 1의 경쟁률로 1순위에서 마감됐다. 전매제한이 없는 재개발 아파트인 서울 래미안신당2차는 9.6대 1,경기 의왕 내손동 재건축 아파트인 래미안에버하임은 12.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청라 한라비발디 계약률은 90%를 이미 넘겼을 정도다.

기존 주택 거래도 다시 소강 상태를 보이지만 올해 들어 일부 지역 집값이 적잖게 오른 게 사실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부동산 거래의 물꼬를 튼 서울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강남4개구 기준)은 올 들어 5월 초까지 10.2% 상승했다. 강남을 포함한 '버블세븐' 지역 집값은 같은 기간 동안 2.45% 올랐다. 지난 3월까지 평촌이나 용인지역 등은 집값이 오히려 떨어졌고 재건축 외 기존 아파트값 상승세가 크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적잖은 상승률이다.

◆3박자 맞은 부동산 회복세

전문가들은 △전매제한기간 축소,양도세 감면 등 규제완화 △지속되는 저금리에 따른 유동성 장세 △건설사들의 분양가 인하 등 '3박자 정국'이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본다. 하지만 프리미엄을 예상할 수 있는 유망 물량에만 청약이 몰리는 '청약 쏠림현상'으로 봐야 할지,부동산 경기의 회복을 전망하는 경제심리의 호전을 가져올지 주목하고 있다.

김신조 내외주건 대표는 "인천 송도는 분양가상한제 적용 지역이라 전매제한이 최소 1년 이상 있다"며 "미등기 전매와 같은 불법거래가 없다고 할 수 없지만 대다수 투자자들은 1~2년 정도 투자를 결심하고 들어왔다고 봐야 한다"며 경기회복 기대감이 엿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은행 예금금리가 연 2%대에 불과한데 송도 같은 투자 유망지역에서 양도세를 100% 감면받으니 돈 좀 있는 사람들은 몰려들지 않을 수 없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청라나 송도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미분양도 해소되는 모습이 보여야 실수요자들까지 시장에 진입했다고 볼 수 있다"며 "이런 점에서 아직 시장이 회복세로 돌아섰다고 보긴 힘들다"고 말했다.

박원갑 스피드뱅크 연구소장도 "청약 쏠림현상과 경기회복 기대감이 혼재돼 있지만 광교신도시 재개발물량 등 올해 신규분양시장에 큰 장이 서기 때문에 청약시장 열기는 당분간 이들 유망 물량 중심으로 이어질 것은 확실해 보인다"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또 부동산 경기가 꿈틀댄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금리를 올리기가 쉽지 않고 규제완화 흐름도 다시 규제 강화로 금세 돌리기도 힘들어 '3박자 정국'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에선 정부의 규제완화 속도가 너무 빨라 청약시장이 이상 과열을 보이고 있다는 비판도 한다. 곽창석 나비에셋 대표는 그러나 "분양가 상한제로 가격을 통제하는 시장에서 다른 규제는 풀어버리니 청약자들이 몰려든 것"이라며 "규제완화 속도가 빨라서라기보다 정책이 '미스매치'된 결과로 봐야 한다"고 평가했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