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국, 홍콩 등의 증시에 대한 관심에 비하면 한국 투자자들이 유독 관심을 갖지 않고, 투자를 잘 하지 않던 나라가 바로 일본입니다. 일본 주식시장은 미국 다음으로 큰 시가총액을 유지하고 있는 선진시장이지만, 1990년대 호황 이후 그동안 기나긴 30년 이상의 침체를 겪고 있다가 최근 부활하면서 전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일본의 대표적인 주가지수인 니케이225(Nikkei225) 주가지수는 1971년부터 일본경제신문사가 산출하고 발...
미국 16위 상업은행인 실리콘밸리뱅크의 파산, 스위스 2대 은행인 크레딧스위스의 합병 등으로 뒤숭숭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와중에 얼마 전에는 특정 상호저축은행의 뱅크런을 유도하는 허위문자까지 유포되어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불경기가 지속되며 중신용자, 자영업자들의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뉴스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내 돈을 맡고 있는 금융회사들은 괜찮은 걸까 하는 의구심이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은행의 건전성을...
역대급으로 상승한 시장금리가 하락 전환할 것을 기대하며 채권투자에 상당히 많은 자금이 쏠리고 있습니다. 한전채나 산금채 등에 대한 관심도 크지만 개인투자자들에게 가장 인기가 많은 채권은 바로 국채, 국고채입니다. 그런데 ‘국채’는 뭐고 ‘국고채’는 또 무엇일까요? ‘국채’는 국가가 공공목적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거나 기 발행된 국채의 상환을 위해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국채에는 총...
대표적인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인 리츠(REITs)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도 20여개가 상장되어 있습니다. 초기에는 오피스빌딩에 투자하는 리츠가 대부분이었지만, 그 투자대상이 다양해지면서 주유소, 물류센터, 쇼핑몰 등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리츠의 원조격인 미국에서는 1960년부터 리츠제도가 시작됐습니다. 현재 200개가 넘는 리츠가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그만큼 더 다양한 종류의 리츠가 상장됐습니다. 미국 리츠 중 매력적인 리츠로 ...
보통 직장인들은 퇴직연금제도를 통해 퇴직 후의 노후생활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자영업자들은 퇴직금제도나 퇴직연금제도가 없다 보니, 노후대책이 미흡한 채로 은퇴생활에 접어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사업에 실패해 부득이 폐업하는 안타까운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중소기업중앙회에서는 ‘노란우산공제’라는 제도를 통해 자영업자 등 소상공인의 노후준비와 재기를 돕고 있습니다. 노란우산공제의 ...
헤지펀드는 일반 펀드들과는 달리 다양한 투자전략을 구사하며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글로벌 헤지펀드들은 절대수익을 추구하기 위해 롱숏(long-short) 전략, 공매도 전략, 글로벌매크로(global macro) 전략, 이벤트드리븐(event driven) 전략, 메자닌(mezzanine) 전략 등 이름만 들어도 전문적이고 복잡한 투자전략들을 구사합니다. 특히 2022년과 같이 변동성이 커진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맘편한 투자를 ...
지난해 한국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거래한 미국 주식은 '테슬라'였습니다. 2021년에 이어 2022년에도 테슬라가 1위에 오르면서 서학개미들의 테슬라 사랑은 식지 않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외화주식 결제금액 상위 6개 종목은 △1위 테슬라 △2위 PROSHARES ULTRAPRO QQQ ETF △3위 PROSHARES ULTRAPRO SHORT QQQ ETF △4위 DIREXION DAILY SEMI...
최근 글로벌 투자은행인 모건스탠리의 '명품 소비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한국의 1인당 명품소비액이 324달러로 세계 1위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미국의 1인당 명품소비액이 280달러였다고 하니 한국인의 명품 사랑은 그야말로 월드클래스라고 표현해도 될 것 같습니다. 코로나19시대에도 명품을 손에 넣기 위한 명품샵 앞의 오픈런과 번호표 뽑기는 매일같이 진행되고 있고, 자연스럽게 명품의 매출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20...
“국민연금에 가입한 돈이 압류될 수 있을까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질문입니다. 채권자는 아무리 자신의 채권을 확보하고 싶더라도 국민연금에 직접 압류를 걸 수는 없습니다. 즉, 국민연금은 국민연금법에 의해 압류도 금지될 뿐더러 담보로 제공되는 것도 금지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국민연금공단 내에 있는 연금수급권이 압류되지 않는다는 뜻이지, 연금이 지급된 이후까지 압류금지가 된다는 뜻은 아닙니다. 즉, 국민연금공단에...
2023년 1월 15일 국세청 연말정산간소화 시스템이 오픈되면서 2022년 소득에 대한 연말정산 작업이 한창입니다. 연봉이 비슷한 동료가 백만원이 넘는 세금을 되돌려 받을 거라며 모처럼만의 해외여행 계획으로 한껏 들떠 있는 모습을 보면 무척이나 부럽습니다. 올해에는 미리미리 연말정산 대비 전략을 세워서 13월의 월급을 꼭 챙겨보고 싶습니다. 노후준비도 앞서 준비하면 매년 꽤 많은 세금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2023년 소득세법 개정에 따라 ...
노후생활을 하다보면 갑자기 자금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마땅히 돈을 구할 방법이 막막할 때에는 국민연금공단의 실버론을 활용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대상은 국내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국민연금 수급자입니다. 일반적인 노령연금 뿐만 아니라 분할연금, 유족연금 및 장애연금(1~3급) 수급자도 실버론 대출이 가능합니다. 단, 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불가능합니다. 국민연금법 제 46조(복지사업과 대여사업 등) '공단은 대통령령으로...
올해 내내 치솟는 고금리 때문에 대부분의 업종에서 이자부담에 시달릴 뿐만 아니라 자금조달 자체에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도 고금리의 혜택을 톡톡히 보고 있는 업종이 있습니다. 다름아닌 은행업입니다. 증권업종이 저금리 시대의 수혜업종이라고 볼 수 있는 반면, 은행업은 고금리 시대의 최대 수혜업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최저 연 0.5%부터 연 3.25%까지 상승하면서 은행의 예대마진 폭도 함께 커져 은행...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수많은 통신탑을 만나게 됩니다. 빌딩 위에도 있고, 산에도 있고, 길 한가운데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라디오나 TV 송신을 위한 송신탑이 전부였겠지만, 이제는 휴대전화 등 모바일 생활을 위해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통신탑입니다. 그렇다보니 일종의 디지털 인프라스트럭쳐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어떻게 통신탑에 투자할 수 있다는 것일까요? 사실 우리나라 이야기는 아닙니다. 우리나라는 SK텔레콤, KT 등...
2022년 3분기 실적이 발표되면서 '어닝 서프라이즈(earning-surprise)', '깜짝 실적'이라는 기사도 많이 나오고 있고, 반면 어닝 쇼크(earning-shock)라는 기사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럼 어닝 서프라이즈와 어닝 쇼크는 무슨 뜻일까요? 작년에 1000억원의 이익을 냈던 A라는 기업이 올해에는 1500억원의 이익을 냈다면 어닝 서프라이즈일까요? 50%의 이익증가율이 발생했으니까 깜짝 놀랄만한...
국내, 해외를 막론하고 주식시장 회복이 막연합니다. 보유하고 있는 주식형 펀드의 손실률이 계속 커지고 있는 것은 물론이고, 금리도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채권형 펀드의 수익률도 마이너스 구간으로 진입했습니다. 펀드를 장기간 보유한다면 언젠가 회복될 것이라는 확신은 있지만, 그 시점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도 확신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이에 보유 펀드를 아예 자녀에게 증여하고 긴 호흡으로 대응하려는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등 상장주식...
원화의 가치는 미국 달러와의 교환비율로 그 가치를 평가합니다. 원화의 가치 뿐만 아니라 유로, 엔화, 파운드화 등 세계 각국 통화의 가치는 미국 달러와의 교환비율을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그럼, 미국 달러는 어느 나라의 화폐를 기준삼아 가치의 등락을 평가할까요? 미국 달러가 일본 엔화 대비는 하락한 날, 동시에 영국 파운드화 대비로는 상승했다면, 미국 달러는 강해진 것일까요? 약해진 것일까요? 미국도 이런 고민에 빠졌었나 봅니다. 그래서 미국은 ...
2022년 각국은 너나할 것 없이 금리를 지속적으로 인상하고 있으며 언제 다시 금리가 꺾일 지는 예상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원유가, 농산물 가격, 금속류 가격 등이 폭등하면서 수십년 만에 찾아온 물가 폭등을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고 있습니다. 중앙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만큼 시장금리도 인상될 수 밖에 없죠. 이런 상황에서 안정적인 투자대안이었던 부동산 관련 금융상품들도 흔들리고 있습니다. 투자자의 자금을 모아 오피스, 상가, 물류센터,...
2022년에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증시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고 한국, 중국, 러시아 등 신흥국 증시도 전혀 맥을 못추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어려운 시기에도 인도 경제 및 주식시장은 보란듯이 승승장구 하고 있어 2022년의 라이징 스타로 꼽히고 있습니다. 최근 외신에 따르면 애플은 2025년까지 아이폰 생산 시설의 25%를 인도로 옮길 것이라고 합니다. 구글도 픽셀 스마트폰 생산에 대한 입찰을 인도 제조업체에게 요청했다고 합니다. 중국...
대기업의 엔지니어인 50세 홍길동씨는 약 10년 전부터 보너스를 받을 때마다 미국 나스닥 주식들을 사모으기 시작했습니다. 그냥 다들 좋아하는 종목인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엔비디아 등에 주로 투자했습니다. 지금까지 투자한 금액이 1억원 가까이 되지만, 현재 평가금액은 6억원 정도가 되었습니다. 수익률이 무려 600%나 되니 매우 만족스러운 성적이지만, 한가지 고민이 생겼습니다. 바로 주식 양도소득세입니다. 한국 주식에 투자할 때에는 ...
국민연금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많은 것도 사실이지만, 국민연금을 잘 활용하면 최고의 연금상품으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바로 국민연금 임의가입 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국민연금은 만 18세이상 60세 미만인 사람 중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있는 사람이 의무가입해야 합니다. 반대로 이야기하면 18세 이상 60세 미만인 사람 중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없으면 의무적으로 국민연금에 가입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국민연금 가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