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예방정책 수립 위해서도 필요"

자살자의 사망전 심리를 재구성해 원인을 규명하는 '심리적 부검'에 대한 국가 차원의 연구가 처음으로 이뤄졌다.

보건복지가족부는 한국자살예방협회와 함께 28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자살사망자 심리적 부검 및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서비스 구축방안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한다고 27일 밝혔다.

심리적 부검은 자살 등 변사의 동기.원인을 추정하기 위해 자살자의 행적과 글, 주변인의 진술을 바탕으로 사망전 일정기간의 심리상태와 그 변화를 재구성하는 작업을 말한다.

개별 자살의 동기를 규명하거나 자살 예방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해외에서는 자살의 심리적 부검이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자살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따라 거의 이뤄지지 않았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심리적 부검 연구가 진행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자살예방협회는 15건의 자살 사례에 대해 심리적 부검을 실시한 결과 7건에 대해서 동기를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연구에 참여한 가천의대 임정수 교수는 "자살에 대한 편견으로 심리적 부검 작업에 대해 처음부터 밝히지 못하고 연구진과 유대관계가 형성된 후에야 이를 설명할 수 있었다"며 "우리사회가 여전히 자살에 대해 매우 폐쇄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자살시도자의 응급진료 후 개별 사후관리 서비스가 제공돼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될 예정이다.

해외 연구에 따르면 자살 시도자는 1주 이내에 재시도할 확률이 5~10%이고 1년 이내에는 9~32%가 다시 자살을 감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자살시도자를 치료한 후 정신과 치료로 연계하는 등의 사례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실정이다.

원주의대 민성호.김민혁 교수는 강원도 원주시 일대에서 자살을 시도한 후 응급실로 후송된 75명에 대해 3~10월까지 개별 사례관리를 실시한 결과 응급치료 후 정신과 진료로 연계되는 비율이 전년도에 비해 63% 높아졌다고 밝혔다.

또 정신과 진료에 대한 순응도도 더 높아졌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tr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