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사건 발생에따른 인명 피해 규모는 당시제주도 전체 인구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2만5천∼3만명에 달한 것으로 추정됐다.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가 29일 채택한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에 따르면 4.3특별법에 의해 신고된 희생자 수는 1만4천28명이지만 이 숫자를 4.3사건 전체 희생자로 판단 할 수 없다면서 이같이 추정했다.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는 현재 신고하지 않았거나 미확인 희생자가 많다면서 4.3사건에 의한 사망.실종 등 희생자 수를 명백히 산출하는 것은 어렵지만 각종자료와 인구변동 통계 등을 감안할때 2만5천∼3만명선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된다는것이다. 보고서는 지난 50년 4월 김용하 제주도지사가 밝힌 2만7천719명과 한국전쟁 발발후 예비검속 및 형무소 재소자 희생 3천여명이 감안된 숫자라고 밝혔다. 신고된 희생자를 가해자별로 구분하면 토벌대에 의한 희생이 78.1%(1만955명),무장대에 의한 희생 12.6%(1천764명), 가해자 구분 불명 9%로 나타났다. 이는 희생자의 80% 이상이 군.경 토벌대에 의해 희생됐다는 당시 미군 정보참모부 비밀보고서 내용과 비슷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희생자 가운데 10세 이하 어린이가 814명(5.8%), 61세 이상 노인 860명(6.1%), 여성 2천985명(21.3%)으로 나타나 당시 국가 공권력에 의한 인권유린의 정도를보여주고 있다. 또 4.3사건 진압작전에서 전사한 군인은 180명 내외로 추정되고 있고 경찰 전사자는 140명으로 파악됐다. 가장 큰 피해는 지난 48년 11월부터 9연대에 의해 실시된 중산간마을 초토화 및강경 진압작전으로 가장 비극적인 사태를 초래한 것으로 밝혔다. 당시 강경 진압작전으로 중산간마을 95% 이상이 불타 없어졌고 많은 인명이 희생됐으며 가옥 3만9천285채가 소실돼 생활터전을 잃은 중산간마을 주민 2만명 가량을 산으로 내모는 결과를 빚었다. 무장대는 남로당 제주도당 군사부 산하 조직으로 정예부대인 유격대와 자위대,특공대 등으로 편성됐는데 지난 48년 4월3일 동원된 인원은 350명으로 추정되고 있고, 4.3사건 전기간에 걸쳐 무장 세력이 500명 선을 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됐다. (제주=연합뉴스) 이기승기자 leek@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