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비사건 하면 의례히 지난 76년의 "박동선 사건"을 떠올린다.

이 사건이 국내에 "로비스트"라는 용어를 일반화시키는 계기가 됐다.

당시 미국행정부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박정희 정부가 재미실업가 박동선을 내세워 미국의 유력정치인들에게 거액을 제공한 사실이 워싱턴포스트에 폭로되면서 외교문제로 비화했었다.

첨단 무기구매나 전투기 기종을 선정할 때는 예외없이 로비의혹이 터진다.

린다 김씨가 관여한 백두사업과 관련해 이양호 전 국방장관과 군무원이 구속됐었다.

율곡사업에서도 국제무기상과 로비스트들의 개입이 밝혀져 무더기 구속을 불러 왔다.

P3C와 UH60 헬기 도입에도 로비의혹이 제기돼 수사를 벌였었다.

이밖에 지난 94년에는 재일교포 사업가인 일본흥업의 나카야마(한국명 박영수) 회장이 한국의 경륜.경정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한국의 정치인과 관리들에게 50억엔을 뿌렸다고 폭로해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다.

국내 사건에서도 <>대한안경사협회의 이성호 전 복지부장관 부인 로비사건 <>최순영 전 대한생명회장 부인의 "옷 로비" <>한보 비자금 사건 등은 전형적인 로비사건으로 분류된다.

강창동 기자 cdkang@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