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낀 내집마련 전략'에 경고등이 켜졌다. 전철환 한국은행 총재가 부동산 시장이 과열될 땐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게다가 경기도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어 대출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아직 금리 인상이 현실화된 것은 아니지만 빚을 내서 집을 살 때는 대출이자가 어느 정도 뛸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움직이라고 부동산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이들은 대출금이 집값의 30%를 넘지 않는 것이 정석이라고 말한다. 더구나 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있을 때는 그 비율을 낮춰 잡아야 한다. ◇ 변동 금리가 부담이다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분양대금은 통상 계약금 20%, 중도금 10%(6회), 잔금 20% 등으로 나눠 납부한다. 건설회사들은 계약금 10%만 내면 나머지 계약금 10%와 중도금 60%를 대출해준다. 총 분양대금의 70% 정도를 빌려주는 것. 현재 대출금리는 부동산담보대출의 경우 6% 안팎이다. 그러나 이 금리는 확정금리가 아니라 변동금리다. 3개월짜리 CD 금리와 연동해 금리가 수시로 조정된다. CD 금리는 콜금리 등 외부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외부환경이 변하면 금리가 순식간에 변한다. 이는 고스란히 계약자 부담으로 다가온다. 문제는 금리가 상향 곡선을 그릴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살로먼스미스바니(SSB) 등 금융기관들은 경기가 본격 회복되면 하반기께 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전철환 한국은행 총재도 부동산 가격이 계속 뛰면 통화정책상의 수단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 대출규모 조정하라 =집값이 들썩이자 빚을 내서라도 집을 사겠다는 이들이 늘고 있다. 집값이 더 오를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상대적 박탈감 등이 원인이다. 그러나 대출규모를 총구입금액의 30% 이상으로 늘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부동산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금리 부담이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수익성도 불투명하다. 집을 사서 손해를 보지 않으려면 집값이 취득세 등록세에다 대출이자를 합한 금액보다 더 올라줘야 한다. 그러나 아파트 입주가 봇물을 이루는 2∼3년 뒤에는 집값이 안정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여윳돈 3천만∼4천만원으로 전세끼고 소형아파트를 사두려는 투자자도 많지만 집값이 급등하는 곳을 제외하곤 실속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전세가 비율이 높은 단지 중 매년 10% 이상 꾸준히 값이 오르는 단지는 아주 드물다는게 부동산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