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는 CIA국장으로 극비 방북, 2차는 국무장관으로 공개 방북 차이점도
40일 전의 데자뷔… 김정은 방중 끝나자마자 폼페이오 방북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전개되는 한반도 외교전의 흐름이 40일 전과 닮은 꼴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비밀리에 만나자마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복심'인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평양을 방문하는 그림이 마치 '재방송'을 보는 듯하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의 첫 방중이 지난 3월25∼28일이고, 당시 국무장관 지명자이자 중앙정보국(CIA) 국장이었던 폼페이오의 첫 방북이 '부활절 주말'(3월31일∼4월1일)로 발표됐다는 점에서 둘 사이의 시차는 최대 나흘에 불과하다.

이번에는 격차가 더욱 줄었다.

김 위원장이 7∼8일 중국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을 전격 방문한 다음 날인 9일 폼페이오 장관이 평양에 도착했다.

폼페이오 방북 직전에 이뤄진 김 위원장의 두 차례 방중이 모두 비밀리에 진행됐다는 사실도 공통점으로 꼽힌다.

방중 직전에 삼엄해진 경비 등을 근거로 소문이 돌기는 했지만, 그 사실을 공식 발표한 것은 일정을 마친 뒤였다.

김 위원장은 두 번 모두 시 주석과 회담하고 '단계적·동시적' 비핵화 접근법을 강조했다.

김 위원장의 방중과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사이에 중국과 미국 간 소통이 있었다는 점 역시 반복된 역사다.

백악관은 지난 3월27일 성명을 내고 "김정은 방중에 대해 중국 정부가 화요일(오늘) 백악관에 연락을 취해 김정은의 베이징 방문을 우리에게 브리핑했다"고 밝혔다.

이번에는 시 주석이 김 위원장과 만난 직후인 미국 동부시간 8일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해 북중정상회담의 결과를 공유하고 한반도 문제 해법을 논의했다.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형식도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첫 번째 방북은 서훈 국가정보원장과 김영철 통일전선부장의 주선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정부가 중개한 형태이기는 하지만 사실상 북한 측의 초청을 받았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날 방북의 경우에는 북한의 초대라고 명시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북한 지도부의 초대에 DPRK(북한)로 다시 향한다"고 적었다.

그러나 두 번의 방북에는 차이점도 적지 않다.

가장 크게 다른 점은 극비리에 이뤄진 '부활절 방북'과 달리 이번에는 도착 전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미리 발표한 공개 방북이라는 점이다.

당시 국무장관 내정자였던 폼페이오가 CIA 국장 신분으로 평양에 간 것과 달리 이번에는 장관으로 정식 취임한 후 방문한 사실도 눈에 띈다.

미국의 현직 국무장관이 방북한 것은 2000년 10월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장관 이후 18년 만이다.

신분이 달라진 만큼 북한의 대접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날 방북에서는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환영 오찬을 주최해 통상적인 외교적 프로토콜에 따라 미국의 국무장관을 영접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