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나는 동경 135도 기준…국회서 변경 법안 수차례 발의
"일제 잔재 아닌 실용적 측면으로 봐야" 의견도
우리도 변경 시도했던 '표준시'… "30분 단위 드물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남과 북의 표준시간을 통일하자고 제안하면서 표준시 개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29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 등에 따르면 표준시는 쉽게 말해 경도 0의 시각을 기준으로 나눈 시간이다.

지구 한 바퀴 360도를 24시간으로 나눈다고 보면 15도 마다 1시간 차이가 나는 식이다.

1972년 1월 1일 정한 협정세계시(UTC)가 현재 세계 표준시의 기본이 된다.

우리나라 표준시는 동경 135도 자오선을 기준으로 삼는다.

협정세계시보다 9시간 빠르다(UTC+9)는 뜻이다.

이 표준시는 과거 논란을 빚어 왔다.

동경 135도선은 우리 영토가 아닌 일본을 지나기 때문에, 한반도 위치를 고려해 변경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독도에서도 약 278㎞ 떨어져 있다.

우리 기준에 맞게 국토 중심부를 지나는 127도 30분 표준자오선에 맞춰 표준시를 설정해야 한다는 주장은 여기에서 출발했다.
우리도 변경 시도했던 '표준시'… "30분 단위 드물어"
현재 표준시가 일제 잔재로 인식되는 것도 이런 목소리에 힘을 실었다.

'UTC+9'를 표준시로 삼은 건 1912년 1월부터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6·25 전쟁 직후 이승만 정부에선 30분 차이가 나는 표준시를 썼다.

동경 127도 30분 표준자오선에 따른 결정으로, 현재 북한의 것과 같다.

그러다 1960년대 다시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삼는 법안을 만들어 오늘에까지 이르렀다.

표준시 변경 제안은 이후 국회로 넘어왔다.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을 보면 지난 2013년 11월 21일 당시 새누리당 조명철 의원 등 37명은 표준시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

일본의 표준자오선을 기준으로 삼는 현재의 표준시를 한반도 중심부를 지나는 127도 30분 기준으로 바꾸자는 게 골자다.

당시 의원들은 "아직 일본으로부터 시간적 독립을 쟁취하지 못하고 있다"며 "표준시 개정을 통해 영토 주권과 역사를 재확립하고 잃어버린 시간을 되찾아 국가 정체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밝혔다.

해당 법안은 그러나 회기 만료와 함께 폐기됐다.

이와 비슷한 내용을 담은 표준시법 개정안은 18대 국회(2008년 7월 23일), 17대 국회(2005년 8월 12일), 16대 국회(2000년 8월 12일) 등에도 발의됐으나, 모두 폐기되기도 했다.

대부분 광복절을 앞두고 해당 법안들이 발의된 점으로 미뤄 일본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결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도 변경 시도했던 '표준시'… "30분 단위 드물어"
유대혁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시간표준센터장은 "사실 전 세계적으로 30분 단위로 표준시를 정한 사례는 극히 드물다"며 "시차라는 게 국제 관계 등 여러 가지 면에서 고려해야 하는데 (30분 단위로 변경하면) 큰 비용이 발생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제 잔재라는 논리보다는 일본을 지나는 동경 135도와 중국을 지나는 동경 120도 중에서 판단할 '선택의 문제'로 보는 게 적절하다는 뜻이다.

유 센터장은 "어차피 1시간 차이긴 하나 135도를 따르는 게 하루를 일찍 활용하는 측면 등에서 실용적이지 않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한반도 통일 표준시를 가장 정확하게 표기하는 건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보유한 세슘원자시계다.

유대혁 센터장은 "1초의 개념은 세슘원자가 가진 고유한 진동수로 정해져 있다"며 "원자는 고유한 진동을 가지고 있다는 특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도 변경 시도했던 '표준시'… "30분 단위 드물어"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미래 표준시 원자시계를 개발 중이다.

세슘보다 더 정확하게 시간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원자 후보가 발견돼서다.

유 센터장은 "다른 나라도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나, 우리나라는 이터븀이라는 원소를 활용하고 있다"며 "세슘보다 적어도 100배 이상 정확한 것으로 보이는 만큼 (연구를 마치면) 시간 개념을 설명하는 원자가 바뀔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