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전문가들은 북한이 25일 핵실험을 전격 단행한 의도에 대해 '북 · 미 간 양자대화 도출을 위한 행위'라고 일제히 진단했다.

북한의 핵실험 의도에 대해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 교수는 "북한이 북 · 미 간의 핵군축 회담을 목표로 단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20여년에 걸친 미국과의 핵협상에서 큰 소득을 얻지 못했다고 판단,핵 억제력 강화 노선으로 확실히 돌아섰음을 국제사회에 천명한 것"이라면서 "오바마 행정부에 '핵이냐 협상이냐'라는 마지막 선택을 던진 것"이라고 말했다.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로켓 발사를 통해 북 · 미 간의 양자 테이블을 만들고자 했지만 이에 실패하고 마지막 카드를 선택한 것"이라면서 "북핵 이슈를 꺼내들며 미국을 자극해 양자대화를 이끌려는 '최종적 벼랑끝 전술'"이라고 진단했다.

향후 미국의 대응에 대해서는 약간의 조정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과 기존 제재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엇갈렸다. 양 교수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월 초 체코 프라하에서 '핵무기 없는 세상'을 만들겠다고 천명했지만 북한이 이를 가장 먼저 부정했다"면서 "미국 정부 내부에서도 논란이 생길 것으로 보이며 미국의 핵정책에 대해 일정 부분 수정이 있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고 교수는 "당분간 안보리 대북 제재 때보다 심각한 냉각기가 유지될 것"이라면서 "하지만 안보리 제재 외에 더 내세울 것이 없다는 게 미국의 고민"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북한이 기술을 진전시켰다고 선전하지만 아직 미국 본토에 핵 위협을 가할 수준은 아닐 것"이라면서 "강경한 미국의 변화를 이끌기는 어려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6자회담은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했다. 양 교수는 "북한을 제외한 5자회담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6자회담은 당분간 열리기 힘들 것"이라고 전했다.

김 교수는 "2006년도 핵실험 당시처럼 북 · 미 간의 고위급 회담을 전제하지 않은 6자회담은 사실상 성사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개성공단과 억류자 유씨 문제 등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대세를 이뤘다.

양 교수는 "이명박 정부의 핵심 대북정책인 '비핵 개방 3000'에서 가장 중요한 핵 관련 문제가 터진 것"이라고 진단하고 "개성공단을 포함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선택 카드는 더욱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고 교수는 "당장 북한이 개성공단을 폐쇄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 "유씨 문제는 북한이 남측의 강경책을 막는 카드로 사용하고 있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교수도 "핵 실험으로 이명박 정부의 대북 정책은 더욱 강경해질 것"이라면서 "남북관계는 최악으로 치달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구동회 기자 kugi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