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계개편''이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거야인 한나라당의 진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개편의 바람은 분명 여권에서 일으키고 있지만 진원지는 구심점을 잃은
한나라당에 있기 때문이다.

이를 확대 해석하면 여권이 추진하고 있는 정계개편의 방향과 그 성패는
한나라당의 향후 진로와 직결될 수밖에 없어 정국 풍향계는 온통 ''한나라호''
에 쏠려 있는 형국이다.

한나라호의 진로는 "주주"의 칼라가 다양한 만큼 여러갈래의 유추가
가능하다.

마치 "럭비공" 같다.

첫번째 시나리오는 탈당의원을 최소화시켜 다수당의 골격을 유지하는 것.

우선 다음달 3일 탈당을 예고한 박세직 김종호 의원을 포함해 15명 내외
의원만이 국민회의와 자민련으로 자리를 옮기는 경우다.

외견상 흠집은 나겠지만 원내 제1당으로서 차기를 노리는 의미의 "실권당"
모습은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 한나라당 의석수가 1백57석인 점을 감안할 때 탈당이 현실화
되면 원내 과반의석 유지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한나라당으로서 "과반수"의 붕괴는 또다른 의미를 지닐 수밖에 없다.

그동안 소속의원들에게 일종의 "보호막" 역할을 해온 과반수를 잃게되면
탈당 도미노 현상이 "전염병"처럼 번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두번째 시나리오는 1차 탈당뒤에 남은 의원들간의 당권 다툼이다.

당권 다툼의 결과에 따라 "떠나는 자"와 "남는 자"가 결정된다.

이는 4월10일 전당대회에서 당권을 고수하려는 조순 총재 이한동 대표
서청원 총장 등의 당권파와 이회장 명예총재와 김윤환 고문 등의 비당권파간
세대결에서 우선 갈릴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세대결에는 민정계 민주계 구민주당계(이기택계) 등 각계파간의
합종연횡이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당권파는 특히 "4월 전당대회 총재경선을 위한 서명작업에 나서 이미
90명정도로부터 서명을 받았다"며 당지도부의 수용여부를 봐서 출당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초선의원들 일부는 탈당을 한뒤 국민신당 등 무소속과 교섭단체를
구성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한나라당 의원들의 탈당은 그러나 "차기 선거를 걱정하는" 충청권
의원들과 선거법 위반 등 개인적 약점이 있는 의원 등 일부에 국한될
것이란 분석도 있다.

특히 여권이 인위적인 정계개편 방침에서 한발짝 물러나 일단 재.보선
결과를 지켜보겠다는 얘기가 흘러나오면서 "한나라호의 해체"는 호흡 조절에
들어간 느낌이다.

더욱이 박세직 김종호 의원이 탈당일정을 30일에서 다음달 3일로 미뤄
눈길을 끌었다.

<남궁덕 기자>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3월 3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