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들어 글로벌 증시가 조정 장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자금의 이탈세가 지속되고 있는데요. 그동안 외국인 자금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점검해 보는 시간을 가겼습니다만 오늘은 외환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집중적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서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있습니다.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각국의 국채금리가 급등하면서 증시를 비롯한 다른 시장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데요. 먼저 그 움직임부터 말씀해 주시지요.-작년 9월 후 선진국 국채금리 상승세 전환-올해 들어 단기채보다 장기채 중심으로 급등-미국, 작년 9월 2.05->작년말 2.41->2.7%대-독일, 작년 9월 0.30->작년말 0.43->0.7%대-국채금리 상승, 증시 등 다른 시장에도 변화미국을 중심으로 각국 국채금리가 왜 이렇게 빠르게 올라가는 것입니까? 특별한 요인이라도 있습니까?-금융위기 이후 10년 만 인플레 우려 확산-demand full, 디플레 갭->인플레 갭-cost push, 국제 원자재 가격과 임금 상승-Fed, 기대 인플레이션율 전향적 자세 전환-3월 Fed회의부터 매파위원, 3차례->4차례 상향국채금리가 올라가는 데에는 채권수급 요인도 크지 않습니까? 특히 미국의 경우 채권수급 불균형이 심할 것이라는 우려가 높지 않습니까?-경기부양 우선순위, 통화정책에서 재정정책-세제감면과 뉴딜정책, 재정적자 확대 우려-트럼프 연두교서, 1조 5천억 달러 뉴딜계획 발표-2년·3년물 중심, 단기채 증액발행 계획 발표-유로·일본·한국 등 타 국가도 재정적자 우려트럼프 정부처럼 국채발행을 통해 경기부양을 모색할 경우 실제로 경기에는 도움이 됩니까?-재정정책 통한 경기부양, ‘재정 상황’ 관건-위기 이후 저금리, 각국 국가채무도 많아져-재정지출 통한 경기부양, 국채발행 불가피-국채발행 조성 재원, 일단 ‘공공지출’ 증가-하지만 국채발행 과정에서 시장금리 상승-금리상승->민간지출 감소, 구축효과 발생모든 정책이 그랬습니다만 긍정적인 효과기 나오지 않을 경우 부작용이 커지지 않겠습니까?-부채의 복수, 저금리와 양적완화 부메랑-국채금리 상승->원리금 증가->부채 복수-세계 부채 GDP대비 2008년 225%->330%-작년 말 152조 달러, 원화 기준 18경원 달해-한국 총부채=국가 595조원+민간 1400조원증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까? 이 문제에 대해 보는 시각이 서로 엇갈리고 있지 않습니까?-10년 만에 유동성 장세->펀더멘털 장세-과다 부채 속 금리상승, 역자산 효과 우려-금리상승->실적 예상치 둔화->증시 거품-BIS, ‘the sword of Damocles’로 잠재위험-IMF, 부채억제 목적 금리인상 가능한 자제미국을 중심으로 국채금리가 급등함에 따라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움직임도 심상치 않은데요. 외국인 움직임, 어떻게 봐야 하겠습니까?-한국 증시의 외국인 자금, 캐리자금 성격 짙어-근거, 피셔의 통화가치 가중 국제자금 이동-금리차와 환차익 목적, 특히 환차익 겨냥-원·달러 환율 1100원 붕괴, 환차익 매력 소진-미국 국채금리 급등, 한국과 역전현상 발생작년 4분기 이후부터 크게 하락했던 원달러 환율이 이달 들어 1100원대로 복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요. 일부에서는 1000원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봤지 않습니까?-원·달러, 3년동안 1150원 중심 ± 50원-적정환율수준 하향, 1150원에서 1100원으로-작년 4분기 이후 대내외 환율왜곡 현상 심해-올해 1분기까지 환율왜곡 현상 지속 가능성-빠르면 2분기 이후 국제적인 달러 가치 수렴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한국경제TV 핫뉴스ㆍ티몬, 초소형 전기차 `다니고` 100대 선착순 판매 개시ㆍ강성훈 박소현, 카메라 꺼진 줄 모르고 포옹하다…`들통?`ㆍ개리 아내, `아무도 몰랐다`…10살 연하 리쌍컴퍼니 직원?ㆍ손예진 나이?…"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ㆍ낸시랭 “올해 한국 떠날 것, 다른 나라서 인생 2막”ⓒ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