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모두 `최대위기' 공감..친환경 제품 개발로 승부. 정부지원도 요구
구조조정 놓곤 대립.."회사존립위해 불가피" vs "책임전가.상생모색해야"


"공공 교통수단의 한 축을 담당하는 오토바이 산업계를 되살려야 합니다.

특히 배달을 하는 자영업자와 서민층의 주요 생계와 이동수단이기 때문에 아무리 어렵더라도 이대로 쓰러질 순 없습니다"
업계는 `불모지'에서 힘들게 일궈낸 국산 오토바이 산업의 위기를 이대로 방치하면 오래지 않아 국내 생산기반이 무너지고 안방 시장마저 완전히 외국산에 내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구조조정 문제를 놓고 갈등 중인 대림자동차㈜ 노사도 오토바이 산업이 최대 위기에 봉착했다는데 공감하고 있다.

회사와 노조는 위기를 극복하자는데는 인식을 같이 하지만, 내놓는 해법은 서로 다르다.

사측은 현재의 판매부진이 앞으로도 상당기간 개선될 여지가 없어 보이는 만큼 회사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잉여인력 감축을 통한 `살빼기'가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회사는 지난달 30일 부산지방노동청 창원지청에 제출한 해고계획 신고서에서 "665명 중 44%인 293명이 잉여 인력"이라며 "내년 비수기를 고려하면 내달 30일에 경영상 해고를 해야 할 상황이다"고 주장했다.

대림자동차 노현동(48.상무) 기획ㆍ행정 부문장은 "회사의 존립을 위해 명예퇴직과 아웃 소싱 등 인원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조는 판매부진에 따른 경영난을 종업원들에게만 떠넘겨 정리해고를 강행하려 한다며 9일 파업에 들어가는 등 강력반발하고 있다.

전국금속노조 경남지부 대림자동차지회 이경수(42) 지회장은 "이번 위기는 외부 경제적인 탓도 없지 않지만, 근본적으로 회사가 단기적인 성과에 급급한 나머지 중장기적인 비전과 계획을 세우지 못한 데 있다"고 사측을 비판했다.

회사는 먼저 유휴 설비와 부지를 매각하는 등 뼈를 깎는 자구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특히 각종 제도를 잘 활용하면 정리해고를 하지 않고도 같이 일할 수 있는 방안이 얼마든지 있는 만큼 노사가 머리를 맞대고 이 방안부터 찾아야 한다고 그는 주장했다.

이로 인해 구조조정을 둘러싼 양 측간 물리적인 충돌마저 우려되고 있다.

사정이 상대적으로 나은 S&T모터스는 위기 타개책의 하나로 320여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무급 휴직제를 시행하고 있다.

대림자동차 노현동 상무는 "국내 오토바이 산업이 망한다면 수백만명에 이르는 소비자들에 대한 애프터 서비스와 부품공급 등이 제대로 안 돼 안전사고와 대기오염 등 사회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오토바이 업계는 우선 구조조정 등을 통해 급한 발등의 불을 끄면서 전기이륜차 등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고 고유가 시대에 맞추 연비를 개선하는 노력을 통해 경쟁력을 키워나간다는 입장이다.

대림자동차는 최근 50㏄급 전기 스쿠터 2종을 개발했다.

가정용 220볼트 전기로 1시간 30분 가량 충전하면 50㎞ 정도를 주행할 수 있는 제품이다.

S&T모터스도 50~250㏄급 전기 스쿠터를 개발, 시제품을 선보인데 이어 내년 말께 본격 양산 체제에 들어갈 준비를 하고 있다.

중국산 저가 제품의 공세를 극복하고 국내외 판매부진을 친환경 제품으로 돌파하려는 전략의 하나이지만 비싼 연료전지 가격이 양산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업계는 친환경 자동차나 자전거에 비해 소외받고 있는 오토바이에 대해서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의 정책적인 배려를 바라고 있다.

대림자동차 노현동 상무는 "정부가 2010~2011년 도입을 추진하는 이륜차 전용면허제와 50㏄ 미만 오토바이의 사용 신고제를 유예하거나 시행 시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이러한 제도는 오토바이 구매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또 전기 오토바이를 구입하거나 장애인 또는 기초생활 수급자 등이 이동수단이 생계용으로 오토바이를 살 때 일정금액을 예산으로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S&T모터스 관계자는 오토바이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개선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제도적인 정비를 통해 오토바이가 소음과 사고를 유발하는 골칫덩어리라는 인식을 벗어나 고유가 시대에 경제적이며, 기동성이 우수한 편리한 이동수단이라는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도로 운행과 관리에 관한 제도에서도 오토바이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조 관계자들도 "정부가 관심을 두고 있는 전동 휠체어와 향후 실버시대에 대비한 노인 전용 이륜차 등 틈새시장을 개발하는데 관심을 쏟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창원연합뉴스) 김영만 기자 ym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