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제의 전면적 실시를 앞두고 지방정부 스스로 지역특성에
맞는 산업전략을 세우고 지역경제연구소를 설립하는등 지역경제발전을
위한 지방정부차원의 경제개발계획이 본격화되고 있다.
지방정부의 이같은 움직임은 지자제실시와 관련해 종래 중앙정부로부터의
일방하향식 정책시행이 빚은 지역간 불균형성장등 부작용을 시정하고
지역발전계획에 해당지역주민의 의사를 적극 반영시키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정부가 도입키로 한 "지역계획제"와 맞물려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2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충북은 최근 산업연구원과 공동으로 도단위의
"공업화 종합개발계획"을 수립, 7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등 향후 국가
경제정책수립에 반영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충북이 이번에 제시한 지역공업화 종합개발계획은 종래 시/군단위의
소규모공업 또는 관광단지 조성계획과는 달리 광역지방자치단체인 도가
지자제실시에 대비, 지역주민의 의사를 반영해 작성한 최초의 지역장기
발전계획으로서 향후 중앙정부의 경제정책 수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단위의 경제개발계획외에 최근들어 지방자치단체별로 자체경제
연구소를 세우는 사례도 부쩍 늘고 있다.
충북은 지역상공회의소와 충북은행등의 출연으로 총 17억원의 기금을
조성, 이미 연초에 충북경제연구소를 출범시켰다.
대구시는 대구은행과 공동으로 40억원의 연구소설립기금조성및 사무실
확보작업을 끝내고 조만간 지역경제연구소를 공식 발족시킬 예정이며
이와 별도로 민간 지역경제연구소 설립작업도 진행중이다.
이밖에 광주 대전 전주등도 지역경제연구소 설립을 위한 준비작업에
들어가는등 지자제 실시에 대비한 지방정부차원의 연구작업이 크게
활기를 띠고 있다.
한편 정부는 지방자치제의 본격 실시에 대비, 지방정부 스스로
경제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중앙정부가 통합 조정하는 "지역계획제"를
도입키로 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