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책 '회복력 시대' 펴내…효율성보단 적응성이 중요
"이태원 참사에 애도… 참으로 비극적인 일"
리프킨 "멸종의 길 걸은 인간…이젠 인간이 자연에 적응할 때"
"지난 1만 년 동안 인간은 자연을 인간에게 적응시키며 멸종의 길을 달려왔습니다.

이제는 다시 인간이 자연에, 좀 더 정교한 방식으로 적응할 차례입니다.

"
미국의 미래학자이자 경제·사회 사상가인 제러미 리프킨은 7일 연합뉴스와 서면 인터뷰에서 "회복력 시대는 지구 생명을 재생시킬 수 있는 두 번째 기회일지도 모른다"며 이같이 말했다.

'회복력 시대'는 그가 선보인 신간 제목이다.

효율성만을 추구하던 '진보의 시대'에서 벗어나 적응성에 방점을 둔 '회복력 시대'로 나아가자고 제안하는 내용을 담았다.

책 집필에만 8년이 걸렸다고 한다.

인류는 그간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천연자원의 수탈과 상품화, 소비를 최적화하기 위해 끊임없는 탐구에 몰두했다.

이 시기에는 효율성과 진보가 시대의 화두였다.

그는 "내가 어렸을 때 세상 사람들의 관심사는 오직 진보, 효율, 자연의 상품화와 추출뿐이었다"고 회고했다.

하지만 지금은 누구도 효율성을 말하지 않는 시대가 됐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기후변화로 홍수, 가뭄 등 자연재해가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심한 양극화가 문제가 되고 있다.

그에 따르면 500개 기업이 글로벌 GDP(국내총생산)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최상위 부자 8명의 재산은 전 세계 인구의 50%의 재산과 맞먹는다.

이런 상황에서 리프킨은 발전보다는 '회복'에 방점을 두어야 한다고 말한다.

기후변화를 줄이기 위해선 화석연료나 원자력 대신 풍력과 태양열과 같은 친환경 에너지 개발이 필요하고, 일방적인 세계화보다는 '세방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세방화란 세계화(Globalization)와 현지화(Localization)의 합성어로, 세계화를 추구하면서 동시에 현지국과의 기업 풍토를 존중하는 경영 방식을 의미한다.

리프킨 "멸종의 길 걸은 인간…이젠 인간이 자연에 적응할 때"
그는 적어도 환경과 경제적 분야에서는 '회복력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생산성에서 재생성으로, 과소비에서 생태관리로, 소유에서 접근으로, 시장에서 네트워크로, 선형적 프로세스에서 인공 두뇌학적 프로세스로 진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리프킨은 "10년 내로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태양과 바람을, 20년 내로 바다를 공유하게 될 것이고, 이런 과정을 통해 세계인들은 하나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3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프라는 2040년쯤이면 회복력 시대의 인프라로 전환할 것"이라며 "새로 부상하는 인프라는 수직 분산형, 중앙집권형이 아니라 완전히 분산형 인프라의 형태로, 누구나 참여할 수 있게 된다"고 내다봤다.

리프킨 "멸종의 길 걸은 인간…이젠 인간이 자연에 적응할 때"
그렇다면 지난 수십 년간 압축성장 경로를 따라 발전한 한국은 회복력 시대를 맞아 제대로 적응할 수 있을까?
그는 우선 "동양문명이 자연과의 조화, 인간의 자연에 대한 적응을 중요시했다는 강점이 있다"며 "20세기 아시아는 서양의 비즈니스 모델 등을 적용했지만 여전히 이러한 과거의 종교적, 문화적 뿌리를 간직하고 있다.

이로 돌아가되 동양문명의 자연에 대한 접근을 업데이트하여 적용해야 한다.

그러면 서양 국가보다 훨씬 빨리 회복력 시대로의 전환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의 특이한 점은 어떤 일이 일어나든 한국인들은 식민지배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고유의 문화와 정체성을 보존할 방법을 찾아야 했다는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주변 요소들의 연결고리를 관찰하는 능력을 키우고, 주변 상황에 대처하는 방식을 배우면서 한국은 강인한 문화적 유전자를 가지게 됐다.

바로 그 능력이 협력을 가능하게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최근 발생한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선 "애도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참으로 비극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미국에서도 모두가 놀랐다.

많은 젊은이가 희생됐다.

전 세계에서 이런 사고가 일어나고 있는데, 보다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