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는 10일 처인구 원삼면 건지산에서 봉수의 흔적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봉수는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로 변방의 급한 소식을 한양에 알리는 국가통신제도로, 조선 초 세종 때 설치된 뒤로 1895년(고종 32년) 공식적으로 사라질 때까지 약 450년간 사용됐다.

용인 '건지산 봉수' 흔적 발견…126년 만에 원위치 확인
건지산 봉수는 조선의 5개 봉수 노선 중 부산에서 한양으로 올라오는 노선의 42번째 내지(내륙)봉수이다.

안성 망이산 봉수에서 신호를 받아 처인구 포곡읍 석성산 봉수로 신호를 전달했다고 세종실록지리지 등에 기록돼 있다.

126년 전인 1895년 봉수제도가 사라진 이후 멸실된 것으로 알려진 건지산 봉수를 찾기 위해 시가 지난해부터 현장답사를 진행하다 지난달 22일 봉수 흔적을 발견했다.

이번에 확인된 건지산 봉수터는 산 정상에서 남서쪽 아래 약 300m 거리의 능선에 위치한다.

봉수를 둘러싼 80m 둘레의 방호벽과 아궁이 5개, 돌로 만든 방호벽 출입 시설 등이 발견됐다.

건지산 봉수터가 발견되면서 석성산 봉수터와 함께 용인지역에 있는 2개의 봉수 위치가 모두 확인됐다.

석성산 봉수터는 조선 전기 유적으로, 서울 남산(목멱산)∼성남 천림산∼용인 석성산으로 이어지는 주요 봉수로에 위치한 역사적, 지정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해 11월 경기도문화재로 지정됐다.

용인 '건지산 봉수' 흔적 발견…126년 만에 원위치 확인
시 관계자는 "올해 안에 건지산 봉수터에 대한 발굴조사를 한 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경기도 문화재 지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