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급증한 가계 부채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위협하는 요인이 될 것이란 지적이 나왔다.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6일 ‘포스트 팬데믹, 새로운 충격에 대한 대응’을 주제로 한국신용평가와 함께 연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무디스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가계 부채 규모는 2016년 대비 30%가량 증가했다. 정부 부채도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을 기점으로 가파르게 증가해 올해 최대치를 기록했다.

아누슈가 샤 무디스 부사장은 “올해 들어 금리 인상으로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하고 가계 부채가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기관투자가들도 한국 경제의 위험 요인으로 인플레이션보다 가계 부채와 부동산 시장 악화를 꼽았다”고 말했다.

다만 무디스는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주력 산업인 반도체 경기 하락과 글로벌 경제성장률 둔화 등에도 불구하고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것이다. 무디스는 2015년 12월 한국 국가 신용등급을 ‘Aa2(안정적)’로 매긴 이후 7년째 이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Aa2등급은 무디스의 21개 등급 중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무디스는 경제 불확실성을 감안해 내년 한국의 신용등급을 Aa1에서 Aa3로 예상했다. 현재 등급에서 한 단계 하향 조정(Aa3)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이다. 북한 이슈 등 지정학적 리스크와 인구 고령화에 따른 재정적자 확대 등이 신용등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진단했다.

무디스는 국내 자금 조달 시장 불안정성이 커진 점도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봤다.

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