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반도체 및 LCD(액정표시장치) 공장에서 검출된 화학물질과 방사선이 기준치를 크게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산업재해 피해자와 작업환경 간의 인과관계도 입증되지 못했다.

삼성 옴부즈만위원회는 25일 서울대 교수회관에서 ‘종합진단 보고서’를 공개했다. 옴부즈만위원회는 반도체 공장 내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삼성전자와 직업병 가족대책위원회, 시민단체 반올림 등이 구성에 합의해 2016년 1월 설립됐다. 의학 및 산업보건 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대학교수 13명이 활동하고 있다.

이날 보고서에서 옴부즈만위원회는 기흥 및 화성, 온양, 아산 공장에서 최근 3년간 유해인자가 법적 허용 기준의 10%를 초과한 경우는 없었다고 밝혔다. 톨루엔 등 유해화학물질도 있었으나 인체에 해로운 기준에는 못 미쳤다. 암, 백혈병, 뇌종양, 유방암 등 각종 질병과 작업 현장의 관련성도 입증하지 못했다.

옴부즈만위원회는 “과거 반도체 공정에서 근로자가 화학물질에 노출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현재 자동화 공정에서는 유해물질 노출 가능성이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옴부즈만위원회는 그럼에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전반적인 유해물질에 대한 종합적인 위험관리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권고했다. 현장 근로자의 알권리를 위해 현장에서 사용되는 모든 화학물질의 리스트를 공개할 것도 삼성전자에 제안했다.

옴부즈만위원회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구성된 조직인 만큼 이번 조사에서 인과관계가 입증되지 않았다고 보상을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삼성전자는 피해 보상을 위해 10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난해 말까지 127명에게 195억원의 보상금을 지급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