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보다 무서운 '저혈압 경제'] '4.9% vs 2.3%' 가계빚 증가율 소득의 2배
금융위기 이후 가계부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웃돌고 있는 것도 소비 부진의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좀처럼 줄지 않는 부채와 이자 부담이 지속적으로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고혈압보다 무서운 '저혈압 경제'] '4.9% vs 2.3%' 가계빚 증가율 소득의 2배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가계신용(가계대출+판매신용)은 전년보다 4.9% 늘었지만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2.3%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가계부채의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뛰어넘은 것이다. 지난해에도 가계신용은 5.2% 늘었지만 명목GNI는 3.3%밖에 늘지 않았다. 최근 5년간 명목GNI 증가율이 가계신용 증가율을 뛰어넘은 적은 2010년 한 해(가계대출 8.7% 증가, 명목GNI 9.8% 증가)뿐이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고는 있지만 여전히 소득 증가 속도를 웃돌면서 소비를 제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계의 이자부담 정도를 보여주는 이자상환비율은 올 상반기 2.7%인 것으로 조사됐다. 처분가능소득을 100으로 할 때 이자부담이 2.7원이라는 얘기다. 지난해(2.9%)보단 다소 낮아졌지만 높은 수준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이자상환비율이란 가구가 벌어들인 소득 중 조세나 연금 등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에서 이자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한국 도시 가구의 이자상환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 2%대 안팎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이다 2009년부터 급등하기 시작했다.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도 6년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월 대비 5조8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돼 전달 가계대출 증가폭(3조9000억원)보다 1조9000억원이나 많았다. 2006년 11월 6조9000억원을 기록한 이후 최대치다. 이는 지난 2월부터 다섯달 연속 증가세를 기록한 것이다. 3월(1조5000억원)과 4월(4조2000억원)의 증가폭을 합한 것보다 6월 한 달간의 증가폭이 더 컸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원리금 상환부담이 늘어날수록 사람들의 불안심리도 커질 수밖에 없다”며 “금리가 오를 경우 가계소비는 더 위축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