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권 최대 경제대국인 독일에서 이미 경기불황을 겪고 있는 일본과 유사한 디플레이션 조짐이 포착되고 있다. 17일자 파이낸셜 타임스(FT)에 따르면 독일의 2분기 국내 최종판매(전체 무역량과 국내 재고축적의 성장 기여도를 제외한 국내총생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1.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의 2분기 국내최종판매는 지난 93년 경기불황기보다 낮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일본의 국내 최종판매도 0.8% 감소, 2분기째 하락세를 유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미국을 비롯해 영국, 프랑스, 캐나다 등 주요 선진국들의 국내 최종 판매는 지난 1년간 2%안팎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독일과 일본은 모두 실질 단기금리에 대한 통제력을 잃은 상태라면서 유로권에 포함된 독일은 금리정책 결정권이 유럽중앙은행으로 이관되었기때문에 독자적 금리 정책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신문은 일본의 경우, 명목 단기 금리가 0% 이하로 떨어진 데다 인플레이션도 마이너스권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통화당국이 금리 정책을 운용할 여지가 없어졌다면서 두나라에서는 거의 유사한 결과로 고금리가 형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자국 통화 강세현상도 공통점으로, 독일은 유로권 주요 무역상대국과의 환율이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평가절하의 폭이 좁다는 것이 파이낸셜 타임스의 설명이다. 일본도 지속적인 경상수지 흑자로 대폭적인 평가절하가 불가능한 상태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아울러 양국은 섣불리 경기 부양을 위해 막대한 재정 투입을할 수 없는 상황이다. 유로권 안정화 협약하에서 독일 연방정부는 역내 국가보다 재정적자를 더 늘릴 수 없기 때문이다. 일본도 이미 정부 GDP대비 재정적자가 대폭 확대된 상태라 추가 재정 적자라는위험부담이 따르고 있다. 양국은 노동시장이 경직되어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지난 0년간 독일과 일본의 실업률은 각각 2.3%포인트, 3.3%포인트 상승했지만 OECD국가들은 평균 1%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양국 노동시장이 비효율적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한편 독일과 일본은 향후 40년간 인구 고령화 및 인구 감소에 따른 경제적 부작용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양국 기업들이 투자자금 유치에 있어서 증시 등 시장보다는 은행 대출에 의존하고 있어 최근 은행권 부실로 신규투자 및 사업 위축이 야기되고 있다는 것도 경기침체 요인이 되고 잇다고 파이낸셜 타임스는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국기헌기자 penpia2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