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위원회는 일부 부실 지방은행을 우량 시중은행에 지주회사방식으로 통합시키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 한빛은행이 중심이 될 것 같은 지주회사 구도에 새로운 변수로 등장했다.

그러나 은행들이 동의할지가 변수다.

이근영 금감위원장과 진념 재정경제부 장관이 "최적의 조합"을 짜내기 위해 4일 하룻동안에만 두차례 만난 것도 그만큼 최선의 선택이 쉽지 않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재경부와 금감위간에 의견통일이 완전히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근영 금감위원장이 5,6일께 시중은행장들과 잇달아 회동할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 급선회 배경 =정부는 광주 제주 경남 평화은행 등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지방은행들을 P&A(자산부채인수)로 정리하거나 지방은행끼리 별도 지주회사를 만드는 방안은 일찌감치 배제했다.

은행 노조들에게 연대투쟁의 빌미를 줄 수 있고 대구 부산 전북은행 등 나머지 지방은행이 빠진 일부만의 통합이 ''돈먹는 새끼하마''를 만들수 있기 때문이다.

금감위 고위 관계자는 "정부가 공적자금을 넣어 BIS(국제결제은행)비율을 10% 이상으로 높여도 부실은행의 소프트웨어가 개선되지 않고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지방은행들의 반발을 무마하면서 부실은행을 정리하는 방안으로 떠오른 것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간 금융지주회사 방식의 통합이다.

◆ 어떻게 되나 =일부 시중은행들은 공적자금만 충분히 지원한다면 지방은행을 통합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금감위에선 과거부터 광주.전남지역에 연고가 있는 조흥은행이 광주은행과, 재일동포가 대주주인 신한은행이 제주은행과 지주회사 방식으로 통합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와 함께 근로자.서민금융에 대해 강점이 있는 국민은행이 평화은행과, 주택은행이 경남은행과 각각 지주회사 방식의 통합을 고려할 수도 있다는게 정부의 생각이다.

그러나 국민.주택은행이 지주회사를 만들겠다는 의향을 밝히지 않은 상태여서 성사여부는 유동적이다.

◆ 우량은행간 합병은 어떻게 되나 =하나.한미은행간 합병움직임은 합병비율을 둘러싼 논란에다 한미은행의 대주주인 칼라일그룹에서 신중론을 제기해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그러나 정부 일각에선 더 큰 규모의 합병이나 지주회사 통합도 가능할 것으로 점치고 있다.

하나+한미은행의 합병이 성사될 경우 국민.주택은행과의 접촉이 급류를 탈 수도 있다.

또 조건부 독자생존 판정을 받은 외환은행은 ''홀로서기''를 고집하지 말라는 경고를 정부로부터 받은 상태다.

기업.외환분야가 강점인 외환은행이 소매금융 위주인 국민이나 주택은행과 짝을 짓는 방안도 실현 불가능한 얘기만은 아니다.

오형규 기자 o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