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학교, 강선우 화학과 교수 '청색 인광 OLED 소자 개발' 성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태경 홍익대 교수, 홍완표 가천대 교수와 공동개발

OLED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디스플레이다.
ADVERTISEMENT
현재 적색과 녹색 소자는 인광 OLED가 상용화되었지만 청색 인광 OLED는 수명이 짧고 안정성이 낮아 아직 형광 OLED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청색 인광 OLED는 짧은 수명으로 장시간 사용 시 디스플레이 번인(열화) 현상이 쉽게 발현돼 제품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긴 수명과 높은 효율을 보이는 청색 인광 OLED 개발은 ‘OLED의 마지막 퍼즐'이라고 불리고 있다.
ADVERTISEMENT
청색 인광 발광체를 구성하는 카바졸(carbazole)이란 분자 그룹에 스피로 플루오렌(spirofluorene)이라는 분자 그룹을 적용해 분자의 진동을 감소시켰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기존 소자(BD-02)에 비해 113%의 발광 효율을 보였으며, 수명은 138% 늘어났다.
ADVERTISEMENT
한편 강 교수가 공동 교신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최근 재료공학 분야의 국제 저명 학술지인 ’Advanced Materials(IF = 27.4)‘에 ’진동 억제 효과를 가진 네트 라덴 데이트 Pt(II) 복합체를 이용한 고효율, 안정적인 울트라 퓨어 블루 인광 유기 발광 다이오드‘란 논문명으로 게재됐다.
용인=윤상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