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이 직접 아이돌 운영에 동참…K팝 이적시장 만드는 게 목표" [긱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병기 모드하우스 대표
걸그룹 트리플에스 등 제작
멤버·타이틀곡 결정 과정에
포토카드 구매고객 참여시켜
걸그룹 트리플에스 등 제작
멤버·타이틀곡 결정 과정에
포토카드 구매고객 참여시켜
!["팬이 직접 아이돌 운영에 동참…K팝 이적시장 만드는 게 목표" [긱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409/AA.38097729.1.jpg)
이 시스템을 구축한 정병기 모드하우스 대표(사진)는 JYP엔터테인먼트, 울림엔터테인먼트 등에서 원더걸스, 미스에이, 2PM, 이달의소녀 등을 제작한 인물이다. 새로운 형태의 아이돌을 만들고 싶다는 포부 아래 2021년 모드하우스를 창업했다.
ADVERTISEMENT
트리플에스 운영의 핵심은 멤버들로 다양한 유닛을 꾸리고 활동 방향과 콘셉트 결정권을 팬들에게 넘기는 것이다. 트리플에스 첫 타이틀 곡 결정에 6만 표, 팬덤명을 정하는 데 9만 표가 몰렸다. 의견을 내기 위해 기꺼이 돈을 지불한 이들이다. 그는 “아이돌의 성장에 기여하길 원하는 팬은 앞으로 더욱 많아질 것”이라고 했다.
이전까지 아이돌 매출은 앨범, 음원 판매, 콘서트 등 방법이 거의 정해져 있었다. 모드하우스가 파는 NFT는 기존 시장에 없던 새로운 매출원이다. 정 대표는 “앨범과 콘서트는 나중에 나오는 매출이라면 포토카드 NFT는 활동 전에도 올릴 수 있는 매출”이라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팬덤 수요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는 것도 강점이다. 참여율이 높은 투표일수록 해당 활동에 대한 관심과 구매력이 크다는 뜻이라서다. 모드하우스는 또 다른 걸그룹 아르테미스의 해외 투어를 준비할 때도 투표 결과를 참고했다. 투어를 돌 때 각 지역 투표율을 보고 티켓 판매량을 예상해 공연장 크기를 결정했다.
정 대표는 코스모를 통해 K팝 내 이적 시장을 열고 싶다고 했다. 지금 성공하지 못한 아이돌은 보통 실패 낙인이 찍혀 재도전 기회를 못 얻는다. 그는 “못 뜬 그룹에도 좋은 인재가 많은데 이들을 놓치는 건 K팝산업의 큰 손실이다. 축구 선수처럼 이적이 활발해져야 한다”고 했다. 코스모에선 NFT 판매량을 투명하게 볼 수 있는 만큼 인재의 몸값 측정도 쉽다는 게 정 대표의 설명이다.
ADVERTISEMENT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